[사설] 한·중FTA 절차 시작하되 서둘 일 아니다

[사설] 한·중FTA 절차 시작하되 서둘 일 아니다

입력 2012-01-11 00:00
업데이트 2012-01-1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그제 정상회담을 갖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곧 시작하기로 했다. 한·중 FTA에 관해서는 중국이 더 적극적이다. 그제 정상회담에서도 후 주석이 “조속히 협상 개시를 선언하자.”고 말하자, 이 대통령은 “협상 개시에 필요한 국내 절차를 밟아 나가겠다.”고 화답하는 형식을 취했다. 공청회 계획을 관보에 게재한 뒤 공청회 개최, 대외경제장관회의 심의와 의결 등 공식협상 개시를 위한 절차를 마무리하면 늦어도 3월에는 협상이 개시될 전망이다. 지난 2004년 9월 ‘아세안+3’ 경제장관회의에서 민간공동연구를 개시하기로 의견을 모은 지 8년 만이다.

한·중 FTA가 체결되면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세계 3대시장과 모두 FTA를 체결하는 유일한 나라가 된다. 한·중 FTA 협상을 개시한다고 해도 협정 체결이 진통 없이 쉽게 이뤄질 것 같지는 않다. 농수산물 등 민감한 분야에 대한 입장이 첨예하게 맞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미든, 한·EU든 FTA를 체결하면 주로 자동차·전자 등 대기업이 이익을 보고 농수산업과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피해를 보는 구조다. 한·중 FTA도 원론적으로 보면 여타 FTA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저가 농수산물과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중저가 제품 등이 물밀듯 몰려올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런 점에서 한·미 FTA보다 파급효과가 훨씬 클 수밖에 없다.

그래서 더 조심해야 할 게 한·중 FTA다. 삼성경제연구소를 비롯한 일부 경제연구소에서는 한·중 FTA가 체결되면 한·미 FTA나 한·EU FTA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더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한·중 FTA는 결코 서둘러서는 안 된다. 2010년 한·중 간 교역규모는 1884억 달러로, 한·미 간 교역규모(902억 달러)의 2배를 넘는다. 한·중 FTA가 이뤄지면 교역규모는 훨씬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심해지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FTA를 통해 한반도에서 중국을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안보적인 측면도 없지는 않겠지만, 농수산업을 비롯한 취약분야에 대한 지원과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신중하고 정교하게 접근해야 한다.

2012-01-1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