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축구장 유세 징계는 경남FC가 아닌 한국당이 받아야

[사설] 축구장 유세 징계는 경남FC가 아닌 한국당이 받아야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9-04-01 20:56
수정 2019-04-02 0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일 보궐선거를 앞두고 자유한국당이 선거유세가 금지된 축구장에서 유세를 벌여 파장이 일고 있다. 한국당의 황교안 대표와 창원 성산 보궐선거에 출마한 강기윤 후보는 지난달 30일 경남FC와 대구FC의 K리그 1부 경기가 예정된 창원축구센터내 관중석에 한국당의 번호가 찍힌 빨간 재킷을 입고 나타나 손을 흔들며 선거유세를 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정관의 경기장 내 선거운동 관련 지침에는 ‘경기장 내에서 정당명, 기호, 번호 등이 노출된 의상을 착용할 수 없다. 피켓, 현수막, 어깨띠 등 역시 노출이 불가하며 명함, 광고지 배포도 금지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를 어긴 구단은 10점 이상의 승점 감점, 무관중 홈경기, 2000만원 이상의 제재금 등의 징계 대상이 된다. 이 때문에 경남FC구단은 정당명, 기호명, 후보자 이름이 표시된 상의로는 입장을 못 한다고 한국당 측에 설명하고, 관중석 선거유세도 여러 차례 만류했다. 하지만 강 후보 측은 “그런 게 어딨느냐”며 이를 무시하고 유세했다고 한다.

한국당은 논란이 되자 선관위 유권해석에 따라 관중석으로 입장했다고 해명했다가 “그런 규정이 있는지 몰랐다”며 결국 사과했다. 제1야당이 스포츠의 정치적 중립성 의무를 몰랐다는 것은 구차한 변명이 아닐 수 없다. 같은 날 바른미래당의 손학규 대표나 정의당 이정미 대표도 창원 선거지원 유세에 나섰지만 이런 규정 때문에 경기장 밖에서만 유세 활동을 했다.

경기장 유세 논란은 공정을 강조하는 스포츠 정신을 훼손하고 일반 국민을 무시하는 한국당의 오만함을 드러냈다. 한국당은 선거 승리를 위해선 위법과 편법을 저지를 수 있고 나중에 문제가 되면 “앞으로 법을 잘 지키겠다”고 유감 표명을 하면 된다는 안이한 정치권의 인식을 이번 경기장 유세 대처에서 그대로 드러냈다. 경기장 유세 징계는 경남FC가 아니라 한국당이 받아야 한다. 축구협회와 선관위는 한국당의 축구장 선거유세 경위를 철저히 파악해 규정 위반에 대한 책임을 묻는 한편 더이상 스포츠를 정치에 이용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보완도 해야 한다.

2019-04-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