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은 장관 10명, 지역편중·지인중용 안 되게 골라라

[사설] 남은 장관 10명, 지역편중·지인중용 안 되게 골라라

입력 2022-04-11 20:32
수정 2022-04-12 0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1일 경북 상주시 중앙시장을 찾아 ‘앙코르 어퍼컷’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윤 당선인은 조만간 외교안보 장관 등 2차 인선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1일 경북 상주시 중앙시장을 찾아 ‘앙코르 어퍼컷’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윤 당선인은 조만간 외교안보 장관 등 2차 인선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윤석열 정부를 이끌 2차 조각(組閣) 작업이 한창이다. 그런데 오르내리는 하마평은 여전히 ‘오륙남’(50~60대 남성) 위주다. 앞서 8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발표하면서 윤 당선인은 “능력을 최우선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쉬운 면이 많다. 당장 8명 중 5명이 대구 등 경상도 출신이다. 평균 나이는 60.5세다. 여성은 한 명뿐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서오남’(서울대 출신 오십대 남성)으로 꾸려진 데 빗대 ‘경육남’(경상도 출신 육십대 남성) 내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시작도 전에 흠집 내려는 의도로만 여길 게 아니라 윤 당선인이 다시 곱씹어 봐야 할 대목이다.

우리 사회는 갈수록 복잡해지고 다층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와 갈등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성 확보는 필수다. 꼬인 실타래를 풀자면 전문성 못지않게 발상의 전환도 중요하다. 어느 한쪽에 편중된 조각 구성으로는 윤 당선인이 꿈꾸는 ‘새로운 국민의 나라’를 구현하기 힘들다. 기계적 안배나 할당을 하라는 게 아니다. 일 잘하는 인재가 경상도나 60대, 남성에만 있는 것은 아니지 않나. 40~50대와 여성 중에서도 인재를 찾기 위해 얼마나 품과 공을 들였는지 의문이다. 눈 씻고 찾아봐도 새 정부의 눈높이를 충족하는 능력자가 없었던 건지, 아니면 검증이라는 명분 아래 당선인과 정권 주변에서만 찾은 것은 아닌지 자문해 봤으면 한다. ‘지인 내각’ 이미지가 굳어지는 것은 새 정부를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할당이나 안배는 없다”는 윤 당선인의 거듭된 발언에선 고집마저 느껴져 우려스럽다.

아직 10개 부처가 남아 있다. 윤 당선인은 “인재가 쏠려 있지 않으니 지역, 세대, 남녀 균형이 잡힐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자연스러운 조정을 기다릴 게 아니라 적극적인 조정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2022-04-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