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두겸 울산시장과 최금석 사무관

[사설] 김두겸 울산시장과 최금석 사무관

입력 2024-01-08 00:58
업데이트 2024-01-08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자동차 울산 신공장 문제 해결한 최금석 울산시 사무관. 한덕수 국무총리 페이스북
현대자동차 울산 신공장 문제 해결한 최금석 울산시 사무관.
한덕수 국무총리 페이스북
김두겸 울산시장과 최금석 사무관. 지역 살림을 책임진 지자체장의 의지와 판단은 어떠해야 하는지, 행정은 왜 존재하며 공복(公僕)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를 말하는 데 이 두 사람의 이름이면 족할 듯하다. 3년 걸릴 것이라던 현대자동차 울산 신공장 건설 행정 처리를 두 사람이 10개월 만에 끝냈다. 막대한 자금과 일자리가 이 지역에 2년 이상 앞당겨 투입되고, 민생은 그만큼 살찌게 된다.

2022년 7월 현대차는 울산에 신규 전기차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2조 2879억원을 투자해 연간 20만대를 생산하고 일자리 2000개를 창출하는 연매출 15조원짜리 사업이다. 산업계에서는 건축은 물론 교통, 환경, 문화재 등 공장 신설에 따른 다양한 법규 검토 등 인허가에만 3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울산시 행정은 달랐다. 김두겸 시장은 “기업 관계자들이 인허가 때문에 당신 말고 다른 공무원 만날 일 없게 하라”며 최금석 당시 주무관을 전담 공무원으로 지정하고 인허가 절차 독려에 나섰다. 이후 최 주무관은 아예 현대차 공장으로 출근해 밤낮없이 뛰어다니며 30개 부서가 얽힌 인허가를 처리해 냈다. 신규 전기차 공장 완공 시점은 2027년에서 2025년으로 2년 앞당겨졌다. 한 해 15조원 매출로 따지면 30조원 규모의 사업을 새로 창출한 것이다. 최 주무관은 지난해 말 사무관으로 특별승진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어제 페이스북에 “이런 시장님, 이런 사무관님들이 더 많아야 한다”며 두 사람에게 감사의 뜻을 밝혔다. ‘행동하는 행정’이란 이런 것일 게다. 현실과 동떨어진 탁상행정,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무사안일의 공직 풍토가 너무도 익숙한 국민에게 신선하고 청량한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규제 혁파의 길 하나를 찾은 듯하다.
2024-01-08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