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불암산 정상에서 만난 바위종다리.
새를 보러 다니기 전에는 깊은 산속에 가야 새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탐조를 다녀 보니 새들은 깊지 않은 산 어귀의 숲에 가장 많고 정상으로 올라갈수록 거의 없다. 등산을 싫어하는 탐조인에게는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렇지만 겨울철새로 오는 바위종다리는 예외라서 바위산, 그것도 바위산의 거의 정상에 있는 바위에서만 지낸다. 사람을 무척 싫어해 멀리멀리 바위산 꼭대기를 서식지로 정했나 싶지만 사실 이 녀석은 사람을 겁내지 않고 잘 따른다. 등산객들이 옆에서 도시락을 먹든 말든 크게 신경 쓰지 않고 할 일을 하는 데다 때때로 등산객들이 먹을거리를 주면 용감하게 손 위에 올라가서 먹기도 한다. 몇몇 사람이 시도해 보았지만 모든 사람이 간택되는 건 아닌 것 같다. 문득 바위종다리의 기준이 뭔지 궁금해진다. 바위종다리에게 잘 보이려고 먹을 것을 이것저것 줘 봤는데, 내 입맛에 더 맞는 달콤한 과자부스러기보다는 들깨와 잣을 훨씬 좋아한다. 다만 잣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작게 으깨 줘야 더 잘 먹는다.
높고 험한 바위산 꼭대기에 먹을 만한 게 뭐가 있을까 궁금하다. 바위 중간 틈바구니에 있는 낙엽이나 풀 사이의 작은 씨앗, 곤충, 거미 등을 먹는다고 하고, 등산객이 흘린 음식 부스러기도 먹는단다. 부족한 수분은 눈송이를 찍어 먹으며 보충하기도 한다. 바람을 막아 주는 바위 옆에서 햇빛을 받으며, 바위종다리가 날고, 먹이를 먹고, 노래하는 소리를 듣고 있노라니 행복하다. 하지만 내려가는 길은 너무 힘들다. 내 생애 더이상 바위종다리 탐조는 없을 거라며 힘겹게 내려가지만 또 모르지. 왜 사서 고생인가 투덜거리며 바위산에 오르는 나를 또 발견할지도.
2022-02-2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