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고 싶은 것만 듣나 보네.”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누던 지인이 농담처럼 툭 던진 말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딴생각을 하며 건성으로 듣고 있었던 속내를 어찌 알았는지. 나이 들면 마음이 넉넉해지고, 연륜도 깊어져 남의 얘기를 더 잘 들어줄 줄 알았는데 웬걸. 성격은 급해지고, 참을성은 쪼그라들어 내 생각과 다르거나 관심사를 벗어난 타인의 말을 인내하기가 점점 버겁다.
‘당신이 잘 있으면, 나도 잘 있습니다’(마음산책)에서 만난 이 문장은 남이 하는 말을 잘 듣는 것에서 나아가 말하지 않는 혹은 말할 수 없는 것까지 헤아릴 줄 아는 깊이 있고, 성숙한 관계 맺기의 아름다움을 일깨워 준다.
저자 정은령은 말한다. “누군가 내 얘기를 들어준다는 것은 얼마나 기쁜 일인가. 세상에 들어줄 줄 아는 사람은 얼마나 귀한가.” 침묵, 울음, 한숨을 알아듣는 경지까지는 아니더라도 우선은 상대방이 하는 말에 온전히 귀 기울이는 노력을 멈추지 말아야겠다.
2021-08-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