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역사 기억의 독점/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문화마당] 역사 기억의 독점/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4-11-06 00:00
수정 2014-11-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역사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우리는 흔히 과거의 진짜 사실로 믿는 경향이 있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원 사료(史料)일지라도, 그것이 과거의 특정 상황을 있었던 그대로 보여 주지는 않는다. 텍스트로 바뀌는 순간부터 그것은 이미 일정한 프리즘을 거쳐 가공된 기록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개인의 과거 경험을 반추하는 방법도 다를 바 없다. 청소년 때 겪은 어떤 경험을 20~30년이 지난 지금 나는 얼마나 사실 그대로 기억하며, 얼마나 객관적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말하고 있는가? 골목길에서 불량배에게 잡혀 몇 대 맞고 풀려난 우울한 경험임에도 세월이 흘러 부모가 돼서는 불량배들과 4대1로 싸워 이겼다는 무용담으로 조작해 자식에게 전달한 적은 없는가?

과거의 경험에 대한 인간의 기억은 이렇듯 불완전하며, 심지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자기 좋은 식으로 편집해 기억한다. 이런 기억 장치가 없다면 우리 인간은 엄청난 정신적 상처에 눌려 미쳐 버리고 말 것이다. 개인의 기억조차 이럴진대 수백·수천만 명이 집단을 이루어 ‘역사’라는 이름으로 기억하는 것들을 정말 100% 사실로 믿는다면 순진하다 못해 바보스러울 수도 있다.

한 예로 17세기에 조선이 전개한 ‘나선정벌’의 실상을 보자. 나선정벌이란 17세기 중반 북만주로 남하하는 러시아(나선)를 저지하려던 청나라의 출병 요구에 따라 조선군이 송화강과 흑룡강 유역으로 두 차례 출정한 사건이다. 교과서에서는 대개 조선군이 러시아 지휘관 스테파노프를 전사시키고 승리했음을 강조하지만, 이는 교묘하게 조작된 기억이다.

오랑캐 청나라에게 당한 수치를 씻자는 취지의 북벌운동이 절정을 이룰 즈음에 조선은 청나라의 명령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청과 러시아의 전투에 ‘끌려 나갔다’. 북벌의 대상인 청나라를 상대로 싸우기는커녕 오히려 그 청나라 오랑캐 장수의 지휘를 받아 전투에 임한 조선군은 심각한 정신적 공황을 겪었다. 2차 원정군 사령관 신유(申瀏)가 전투에서 승리하고 개선하면서도 마음이 천근만근이었던 이유는 바로 이런 문제 때문이었다. 또한 신유가 병으로 죽었을 때 조문객들 중 어느 누구도 만사(輓詞)나 행장(行狀)에서 그의 전공을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공적을 다소 부풀려 과장하기 마련인 만사에서 있는 공적조차 함구한 사실은 나선정벌 얘기를 꺼내지 않는 것이 망자에 대한 예의라는 분위기가 당시에 절대적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런데 18세기에 접어들면서 나선정벌에 대한 우울한 기억은 국가 차원에서 장쾌한 승리로 편집된다. 북벌운동의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나선정벌을 북벌운동의 가시적인 성과로 둔갑시킨 것이다. 나선정벌 경험이 우울했던 이유는 청나라의 존재 때문이었는데, 이제 나선정벌의 기억에서 청나라를 지워 버림으로써 나선정벌은 처음부터 조선의 필요에 따라 조선이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북쪽 오랑캐를 쳐부순, 말 그대로 북벌(北伐)의 승리로 뒤바뀐 것이다.

역사 기억은 하나일 수 없으며, 하나이어서도 안 된다. 특히 국가가 독점하는 역사 기억은 신뢰도가 크게 떨어진다. 최근 유신의 망령처럼 되살아나는 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움직임은 국민의 머릿속 기억까지 국가가 일방적으로 통제하고 특정 기억을 독점적으로 주입시키려는 것으로, 심각한 시대착오이자 일종의 폭력이다. 학창 시절 읽은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이 문득 뇌리를 스친다.
2014-11-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