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호 인사혁신처장
인사혁신처는 지난해 ‘찾아가는 공직박람회’를 개최했다. 2011년부터 대도시에서 일회성으로 진행하던 ‘기다리는 방식’에서 정부가 지역별 대학·고교 등을 ‘직접 찾아가는 방식’으로 13년 만에 개최 방식을 전환했다. 전국 각지의 청년들에게 직접 찾아가 수요자 맞춤형으로 공직 채용정보와 정부를 소개하고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는 시간을 가졌다.
인사처 본부 국장급 이상 공무원들도 정책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현장을 찾았다. 비무장지대(DMZ)에서 불과 10㎞ 남짓 떨어진 벽지나 간이역 하나 없는 농촌 소도시도 예외는 아니었다. 필자도 충청권·호남권·강원권 등 권역별로 최소 1번씩, 총 9번 현장을 찾아 청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공직을 희망하지만, 지방 학생은 정보를 얻을 창구가 마땅치 않다”, “시험을 주관하는 인사처에서 직접 찾아와 설명해 주니 큰 도움이 됐다” 등 현장에서 만난 청년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누적 방문자 수는 1만 3000명을 돌파했고 행사 만족도는 긍정 이상 응답 비율이 93.9%를 기록했다. 공직박람회가 도입된 이래 가장 높은 만족도이다.
열렬한 호응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시대가 변했다고 하나 여전히 국민이 국가 정책에 접근하기 쉽지 않음은 물론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을 꿰고 있을 수는 없다. 특히 도서벽지 등 대도시에서 먼 곳에 있는 분들은 정부 부처 공무원을 직접 만날 기회가 거의 없다. 그렇다면 정부의 역할은 단순히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는 데에 그쳐선 안 된다. 보도자료를 내는 것만으로도 부족하다.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정답이 있다’(우문현답)고 하듯이 늘 국민 곁에 있는 따뜻한 정부가 되려면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한 후 민생 문제를 즉시 해결하는 행동하는 정부의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책상에서 보고서로만 접하는 낡은 방식은 묵은 달력과 함께 버려야 한다. 현장 소통은 국민과의 물리적·심리적 거리를 줄이게 된다는 사실을 이번 ‘찾아가는 공직박람회’를 통해 더 절실히 실감했다. 책상을 뛰쳐나와 현장에서 국민과 눈높이를 맞춰야 하는 이유다.
지난해 인사처는 찾아가는 공직박람회를 통해 3개월 동안 28개 지역에서 총 40회 현장과 소통했다. 이동 거리는 총 1만 3800㎞로 달의 둘레(1만 900㎞)보다 길었다.
국민에게 다가가 즉시 문제를 해결하는 ‘행동하는 정부’를 실현하기 위한 인사처의 노력은 올해도 계속된다. 인재 유치, 신속한 공무상 재해보상 등 주요 현안에 대해 국민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신속하게 정책에 반영할 것이다. 2024년에는 국민에게 다가가는 인사처의 발걸음이 달을 넘어 태양에 닿을 만큼 활발하길 기대해 본다.
2024-01-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