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반면 치료가 효과가 없다거나, 재발했다거나, 죽음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말은, 아마도 의사가 가장 하고 싶지 않은 말이 아닐까. 그러나 암 진료를 하는 이상은 종종 그 이야기를 해야 하는 무거운 짐을 짊어지게 된다. 이 이야기는 오래 걸린다. 이런 분을 진료하게 되면 그 이후 진료 순서는 한없이 밀리게 된다. 즉 그날의 진료 속도는 이 ‘나쁜 소식’을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하느냐에 달려 있다. 많은 환자들은 이 청천벽력 같은 소식에 화를 내기도 하고, 소리를 지르기도 하고, 울기도 한다. 환자가 일견 평온해 보이는 경우엔 진료를 빨리 마칠 수 있어 순간적으로는 안심이 되지만 실은 오히려 더 걱정이 된다. 암이 진행됐다는 소식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듯했던 환자가 이후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소식을 듣고 망연자실해진 적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증질환의 진단, 치료 실패, 임종 등 ‘나쁜 소식’에 대해 말하는 것은 엄연한 의사의 책무이기도 하다. 누구나 자신의 의학적 상황에 대해 알 권리가 있고, 상황에 대해 알아야 그다음을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준비되지 않은 죽음은 사랑하는 이들에게 더 큰 아픔과 죄책감을 남긴다. ‘나쁜 소식 전하기’는 의사 국가시험의 실기 항목으로 들어 있어서, 의대생들은 암을 진단받은 시나리오에 따라 행동하는 모의환자를 대상으로 실습을 한다. 그들은 분위기를 잡고 환자를 안정시킨 후 조심스레, 그러나 명확히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것까지는 잘 하는데, 이후 모의환자의 감정적 반응에 놀라기도 하고 겁을 먹고 당황하기도 한다. 그들을 보며 이 일이 실제로는 환자에게나 의사에게나 얼마나 감당하기 어려운 일인지를 새삼 깨닫게 된다.
그렇다고 나쁜 소식을 전하지 말아야 하는가. 물론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환자에게 갑자기 절망적인 진실을 들이미는 것은 폭력일 수 있다. 어떤 이들은 ‘진실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환자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그것은 ‘희망’을 구실로 힘든 설명을 회피하는 핑계가 된다. 나쁜 소식을 들을 준비가 안 된 환자에게는 나쁜 소식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우선 도와주어야 한다. 나쁜 소식 전하기는 정서적 교감을 차단하기는커녕 누구보다도 그 교감을 놓지 않으면서 그 분노와 슬픔을 다 받아 안을 수 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다.
일단 이런 어려운 대화는 충분한 시간 동안 환자와 상호작용하며 이끌어 나가야 하는데,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다. 나는 그래서 진료비가 조금 더 높긴 하지만 15분간 진료를 할 수 있는 ‘심층진료’를 주로 말기 암환자들에게 적용해 보려고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원무과에서 ‘건강보험 정책상 심층진료는 처음 진료를 받는 초진, 신환자에게만 적용되고 이전에 진료했었던 재진 환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답이 돌아왔다. 15분도 사실 부족하고 20~30분에 걸친 가족면담이 필요한 일인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 제도적인 보완이 가능하다면 환자들이 조금이라도 마음의 상처를 덜 받고 힘겨운 시기를 견뎌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2021-06-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