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중심의 첨단 기술
‘메타버스’는 가상과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이다. 1992년 미국 SF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현실과 똑같이 구성한 3차원 가상세계에서 자신의 아바타가 사회·경제·문화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언택트가 주류로 자리잡은 요즘 5G 기술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을 지나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차원의 영역을 열어 주고 있다.메타버스란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대도시 시민의 발이 돼 주는 ‘메트로버스’를 잘못 들은 줄 알았다. 이름은 비슷해 보이지만 내포하는 의미는 확실히 이질적이다. 도시 통근자를 가득 태운 메트로버스와 사람 대신 아바타가 출퇴근하는 메타버스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계의 확연한 대비를 보여 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제 SF영화 ‘매트릭스’처럼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수시로 오가는 세상을 발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디지털 메타버스의 핵심도 결국엔 사람이라는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된다. 과학적 발견의 끝에는 언제나 인간이 중심에 있어야 한다. 많은 이들이 기대하는 것도 결국 기술적 편리함뿐만 아니라 기술을 통한 더 끈끈한 정서적 연결이 아닐까 싶다.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기술도 중요하지만, 그 기술을 통한 연결의 중심에 사람이 놓인다면 메타버스는 우리의 일상에 녹아드는 새로운 메트로버스가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국동학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2021-09-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