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누구지?” 바로 나였다. 처음 본 나의 반쪽, 남은 늘 보고 있지만 나는 볼 수 없는 반쪽. 잊고 산 그 반쪽에 놀라고 말았다. 그 뒤로 나는 뒷모습을 관찰하는 버릇이 생겼다.
뒷모습에 놀랄 당시 나는 군 공보업무를 하고 있어 TV 카메라 앞에 자주 서야 했다. 어느 날 식당에서 기자들과 밥을 먹는데 내 뒤편 TV 화면에 군복 입은 내가 나오는 게 아닌가. 여주인이 내 얼굴과 TV를 번갈아 보며 “저 양반이 손님과 많이 닮았네요”라며 말을 걸었다. “네, 제 동생입니다.” 내 대답에 기자들은 박장대소를 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그녀는 어리둥절했다. 임기응변으로 한 답변이었지만 의도와 달리 묻는 이를 놀린 꼴이 되고 말았다. 겸양지덕(謙讓之德)이 부족하던 시절이다.
버스를 타고 출퇴근을 한 적이 있다. 그때 사람들 뒷모습만 보였다. 운전대를 잡은 버스기사, 이어폰을 꽂은 청년, 화장품을 찍어 바르는 처녀, 아침잠에서 헤어나지 못한 남자. 그들은 저녁이 되면 세상에 지치고, 술에 취해 머리를 옆으로 꺾은 채 반대 방향 버스를 타고 다시 뒷모습을 흔들거리며 집으로 갔다.
거리에서도 앞모습은 순간적으로 스쳐 가지만 뒷모습은 내 앞 저만치에서 한참을 겅중겅중 갔다. 세상에는 앞모습보다 뒷모습이 더 많아 보였다.
중국 시인 주자청(朱自淸ㆍ1898∼1948)의 수필 ‘아버지의 뒷모습(背影)’이 인상적이다. 그는 귤을 사러 가는 늙은 아버지의 뒷모습을 이렇게 썼다. “아버지는 먼저 양손을 플랫폼 위 바닥에 댄 채 두 다리를 모으고는 위로 오르려고 한껏 뛰셨다. 순간 뚱뚱한 몸이 중심을 잃으며 왼쪽으로 기우뚱하였다. 몹시 힘겨워하시는 모습이 역력했다. 아버지의 뒷모습을 지켜보고 있던 나는 가슴이 뭉클해졌다. 나도 모르게 눈가에 눈물이 글썽거렸다.”
그의 아버지는 한마디 말이 없지만 뒷모습은 아들의 머리와 마음속에서 숱한 생각과 감정의 파도를 일으키며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심상으로 맺히고 있다. 독자들 또한 시인의 감정과 개인의 감정이 서로 엉키면서 저마다의 특별한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뒷모습에는 특유의 강렬한 언어가 있다.
나는 조실부모했다. 한 살 때 돌아가신 아버지는 한 장의 사진으로만 기억된다. 그런 내가 장성한 자식들에게 살아 있는 내 뒷모습을 내어 주고 있다. 아버지의 뒷모습을 본 적이 없는 나는 그들 뒷모습과 내 뒷모습을 겹쳐 보며 묘한 감정과 감동을 느낀다. 그러면서 생각한다. 그때나 지금이나 내 등에 올라탄 것이 결국 ‘연결자’라는 것을….
아이들은 아버지 등에 올라타서 먼 세상을 바라다보았다. 한때 종종걸음으로 그 뒤를 따랐다. 그런 아이들이 커서 작아진 아버지의 뒷모습을 안쓰러워하며 그들 또한 아버지의 길을 간다. 그 결과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는 경쟁에서 멸종하지 않고 살아남았다. 인류의 생존과 번영은 DNA의 영속성이 가져온 결과다. 그래서 연결자의 사명은 결코 가볍지 않다.
뒷모습. 나와 타인의 반쪽 세상. 뒷모습 세상에 독자 여러분을 초대한다. 당장 스마트폰을 들어 당신의 뒷모습을 찍어 보라.
2024-01-2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