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미국의사협회는 환자를 선택할 때 삶의 질 향상, 위급성, 수술의 혜택 크기와 같은 의학적 요구를 독립적으로 고려하며, 이전에 했던 행동이나 사회적 역할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올바르다고 규정한다. 언제나 이식을 원하는 사람에 비해 공급되는 장기의 수는 적다. 그래서 의학적 시급성에 더해서 언제나 알코올, 행동문제 등이 이식 후 관리의 부정적 위험 요인으로 여겨지는 것이 현실이다. 시급성의 측면에 주목한 의사들은 4일 내 사망 위험이 있는 17세 여성에게 우선권을 줬지만 일반인은 자해를 한 사람은 몸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고 보았다. 죄수는 공통적으로 낮은 순위를 받았는데, 의사들은 시급성이 떨어지고 반사회성을 가져서 수술 후 관리를 못 할 것이라고 본 것 같다. 공통적으로는 ‘감옥에 있는 사람까지 모자라는 장기를 나눠 줄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이 영향을 줬을 것이다. 전문가라 하더라고 감정이 중요한 판단에 개입을 했다.
동부구치소 집단감염에 대한 반응에는 장기이식과 마찬가지로 감정이 반영돼 있다. 이는 올바른 것은 아니다. 더욱이 교도소가 아닌 구치소 수감자는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르면 일반인과 같은 조건으로 봐야 할 텐데 말이다. 바이러스는 미래가 창창한 아이에게도, 많은 일을 해야 하는 사회지도층에도 가리지 않고 침투한다. 그런 면에서 평등하고, 그런 만큼 치료의 시급성과 예방을 위한 조치 등도 동등해야 한다. 하지만 잠재의식은 ‘이들은 벌을 받는 중이고 나쁜 사람이니 코로나에 걸려도 싸다’고 합리화하며 그들의 위험과 고통을 보지 않으려 한다. 힘든 상황에 처한 사람을 보고 느끼는 공감을 가려 가면서 하는 것이다.
감정을 뜻하는 영어 이모션(emotion)에는 움직임을 뜻하는 모션(motion)이 들어 있다. 즉 감정은 우리 판단과 행동의 방향을 가리킨다. 이를 통해 공감하고 연대하면서 힘든 사람, 아픈 사람, 약한 사람의 고통을 줄이고자 함께 대처할 수 있었다. 그 감정이 선택적으로 작동할 때도 있다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 그게 바로 내로남불의 메커니즘이 되는 것이다. 공정과 정의를 최우선으로 하는 지금 사회의 원칙에도 맞지 않는다. 내 편과 남의 편을 가르고 그들이 되면 아픔도 남의 일이 되는 것이다. 언젠가 내 고통의 순서가 됐을 때 고스란히 부메랑이 될 것이다.
곧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 이제 누가 먼저 접종을 맞는 게 좋을지 의견이 나올 것이다. 대중 정서에 기반한 것과 의학적 판단이 다를 수 있다. 구치소 수감자의 순서는 어디쯤일까? 이때만큼은 지금 내 판단에 감정이 포함된 건 아닌지 생각해 봤으면 한다.
2021-01-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