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오래된 학폭, 기억의 부활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오래된 학폭, 기억의 부활

입력 2021-03-01 16:56
수정 2021-03-02 0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년 전의 학폭이 폭로돼
유망한 선수들 활동 중단
편도에 기억되는 트라우마
언제든 기억 재생, 착하게 살자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쌍둥이 배구선수의 중학교 때 폭력이 폭로됐다. 자필 사과문을 올렸지만 수습이 되지 않았고 무기한 출장 정지가 됐다. 다른 운동과 연예계까지 퍼졌다. 피해자들이 생생하게 과거의 아픔을 이야기했고, 많은 사람이 격한 반응을 하며 사과와 처벌을 요구했다. 그 과정의 일정한 패턴이 눈에 띈다. 먼저 가해자로 지목되는 사람이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등 관련 정보가 많아지고 유명해진다. 얼마 안 있어 꽤 오래된 일을 상세히 되살린 피해자가 나타난다. 여기에 대중은 강한 공감으로 반응을 하고, 호감은 강력한 비난으로 반전돼 퇴출이 일어나는 것이다.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한 밴드의 멤버나 매니저의 학폭 관련 사건도 비슷했다. 쌍둥이 자매도 방송 출연과 소셜미디어 활동을 했고, 같은 팀 선배를 암시하며 “갑질과 괴롭힘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일”이란 글을 올려 마치 자신이 피해자인 것같이 보였다. 이것이 피해자가 “본인이 과거에 했던 행동을 잊고 있는 것 같아서”라며 나서게 되는 방아쇠 역할을 했다. 여기에 대해 십 년도 지난 과거의 일을 왜 굳이 지금 꺼내는지 하는 의문을 갖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잘나가는 게 부러워서라는 억측도 한다. 더욱이 양측 당사자가 기억하는 내용이 한참 다르니 말이다.

가해자는 자기가 한 일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지냈고, 피해자는 십 년이 넘게 오랫동안 잊지 못하고 있었다. 다만 억누르고 있었을 뿐. 그것은 사건이 벌어지던 시기의 감정 유무에 기인한다. 가해자에게 당시 괴롭힘은 하나의 놀이였고, 스트레스를 푸는 일이었다. 일상적이니 시간이 지나서 곧 소거가 돼 버렸다. 그들에게는 노래방에 갔던 주말 저녁, 맛있는 식사를 한 날 정도의 일이었을 것이다. 뇌는 일상적 정보는 저장장치에서 삭제해 버린다. 반면 피해자에게는 같은 상황이 심각한 트라우마였다. 생존과 관련한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일이었을 것이다. 부정적 감정과 연관된 기억은 오래 남고 잘 지워지지 않는다.
이미지 확대
사건 기억은 해마에 저장되지만 감정 기억은 편도에 저장돼 사건이 일어난 날짜가 지워진다. 날짜가 저장되면 시일이 지나 오래된 것은 지울 수 있다. 반면 언제 일인지 정보가 없으면 그 일은 언제나 생생하다. 언제든지 유사한 사건이 벌어졌을 때 즉각적으로 마치 지금 벌어지는 일같이 대응할 수 있기 위해서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이 사건 순간을 바로 눈앞에서 벌어지는 것같이 경험하는 ‘플래시백’ 현상도 같은 과정이다. 거기다 실패, 좌절, 상처와 관련한 사건은 더 세세한 정보를 저장한다. 위험해질 만한 상황을 잘 피하려면 가급적 잘 기억해야 하니 말이다. 이렇게 감정과 함께 저장됐던 사건은 유명인으로 인터넷에 나타나면서 어디서든 눈에 보이고, 억눌러 왔던 기억이 멀리서 소환된다. 십 년이 지난 일이라도 어제 일어난 일같이 생생하게.

이것이 가해자와 피해자의 사건에 대한 기억의 차별성 메커니즘이다. 가해자는 까맣게 잊고 지나간 사건이고, 이렇게 자세하다면 그런 일이 있었던 것 같기는 하다면서 강력히 반박하기도 힘든 기억의 파편들만 남아 있으니 말이다.

영화 ‘올드보이’의 오대수는 왜 갇혔는지도 모른 채 15년 동안 만두만 먹었다. 나중에야 비로소 그가 학교에 다닐 때 퍼뜨리고 다닌 이야기가 이진우의 누나를 자살하게 만들었다는 걸 알게 된다. 그는 완전히 잊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기억의 비대칭성을 이해해야만 피해자의 아픔과 지금의 고통을 공감할 수 있다. 왜 십 년이나 지난 일을 지금 끄집어내냐고, 시기와 질투 때문에 하는 폭로가 아니냐는 말은 삼가야 한다. 더욱이 학생 시절의 폭력은 수준의 차이가 있을 뿐 아주 많은 사람이 직접 피해 당사자가 돼 보았거나, 간접적으로 피해자를 무력하게 지켜본 기억이 남아 있다. 그래서 이런 폭로에 대해 폭발적인 공감적 반응을 하게 된다.

나는 이 일이 힘센 학생들에게 중요한 메시지가 됐으면 한다. 지금 너희는 재미로 스트레스 푼다고 하는 행동일 수 있어. 졸업하고 십 년 지나면 완전히 잊어버리겠지. 그렇지만 잘나가게 되면 재미로 했던 일이 너희 인생의 발목을 잡을 거야. 지뢰가 터지듯이 말이야. 그 지뢰는 너희가 묻어 놨던 거야. 그러니 지금 친구들 괴롭히지 말고 착하게 지내자. 알았지?
2021-03-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