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어감, 뉘앙스, 뜻빛깔

[이경우의 언파만파] 어감, 뉘앙스, 뜻빛깔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6-06 20:18
수정 2021-06-07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시인이 카톡으로 물었다. “‘너하고만’은 되고, ‘당신과만’은 안 되나요?” ‘당신과만’이란 표현이 어색했다. ‘하고만’과 ‘과만’이 의미는 다르지 않은 듯한데, 왜 달리 보이는지 바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이 말들은 동의어가 아니라 유의어 관계였다. 동의어는 바꿔 써도 뜻에 차이가 없지만, 유의어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동의어는 ‘뜻이 같은 말’이고, 유의어는 ‘뜻이 서로 비슷한 말’이다. 같은 말과 비슷한 말은 다르다.

그가 시인이라 시 하나 읽으라며 답을 보냈다. “시 하나 썼슈. 제목은 ‘자유’ .”

“우리는 구어체인 ‘하고’에 더 자유를 줬네유. 뭔 야그냐면유./구어체인 ‘하고’가 노는 게(쓰임새) 더 자유롭네유. 문어체로도 구어체로도 쓰이는 ‘과’는 그렇지 않구유./*밥하고 찌개하고 먹었슈.(○)/*밥과 찌개와 먹었슈.(×)/구어체인 ‘하고’는 ‘만’과도 자유롭게 만나는데, ‘과’는 자유롭지가 않네유./*당신하고만 놀래유.(○)/*당신과만 놀래유.(×)/구어체들은 엄숙함을 버려서 자유로운가뷰ㅎ/비슷한 뜻 구어체 ‘이랑(랑)’도 그려유./*밥이랑 찌개랑 먹었슈.(○)*당신이랑만 놀래유.(○)/‘과’를 적극적인 구어체로 만들면 ‘하고’나 ‘이랑’처럼 더 자유로워질지도 모르겠네유. 시인이 자유를 줘유.” 시인이 재밌는 ‘시’란다. 말투가 리듬을 주고 시를 만들었나 보다.

‘하고’와 ‘이랑’과 ‘과(와)’는 유의어다. 유의어는 뜻은 비슷하나 어감이 다르고, 뉘앙스가 다른 말이다. 그렇다 보니 쓰임새가 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말소리, 말투의 차이에 따른 느낌이나 맛, 즉 어감을 말로 밝히기는 쉽지 않다. 어감은 무의식 속에 들어 있는 지식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뉘앙스도 그렇다. 말에는 겉으로 드러난 의미 외에 느껴지는 뜻들이 있다. 빛깔, 소리, 뜻, 감정이 복잡하게 얽힌다. 어떤 이들은 어감이나 뉘앙스를 뜻빛깔이란 말로 뭉뚱그려 사용한다. 유의어는 이런 세계다. 구별하기 힘들고 헷갈린다. 그렇지만 무의식적으로 구별한다. 민감한 이들은 새로운 말로 다시 풀어낸다.

정치의 말들이 풍성하다. 당대표 선거에 나선 이들의 말과 대통령선거에 나서려는 이들의 말이 바쁘다. 정치인들은 얘깃거리가 많다. 어느 정도 정치생활을 한 이들은 말도 능숙하다. 국가와 국민, 시대정신을 근사한 포장지로 두른다. 그런데 국민들은 그것만 보지 않는다. 말과 말 사이 어감과 뉘앙스들에 점점이 박혀 있는 언어 너머를 발견한다. 진실이 언어의 표면에 있지 않다는 걸 경험으로 안다.

wlee@seoul.co.kr
2021-06-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