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아줌마’도 줄임말이다. ‘아주머니’가 본말인데, 줄어들면서 여러 의미가 생겼다. 성인 여성을 다정하거나 가볍게 부르는 말이기도 하고, 평이하게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본래는 부모와 같은 항렬의 여성을 가리키는 친족어였다. 친족이 아닌 남에게 “아줌마”라고 하는 건 친근함을 한껏 담은 것이었다. 그래서 어린이가 결혼한 이웃집 여성에게 “아줌마”라고 하면 가깝고 다정하다는 표시를 그대로 드러낸 게 된다. 그런가 하면 “이보쇼, 아줌마”, “촌스러운 머리를 한 아줌마 스타일” 같은 말에서 ‘아줌마’는 다정한 상대가 아니다. 무시하고 차별하는 속내가 들어 있다. ‘아줌마’를 이렇게 대하는 태도에는 ‘세련되지 못함’, ‘시끄럽고 염치없고 교양 없음’ 같은 의미가 깔려 있다. 그래서 아줌마들의 말은 종종 말이 아니라 ‘수다’로 치부되곤 했다. 꼰대들은 ‘아줌마’들을 이런 시각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었다.
‘꼰대’는 은어였다. 이전 일부 학생들은 선생님을 가리켜 이렇게 말했고, 아버지를 이렇게 가리켰다. 한때 ‘불량한 학생’들이 쓰는 ‘불량 언어’로 치부되기도 했다.
꼰대들은 반말 잘하고 버럭도 서슴지 않았다. 나이 많은 걸 자랑했다. 그들은 아줌마들보다 권력이 있었다. 때로는 회초리로 자기들에게 편리하게 만들어진 ‘규범’을 끊임없이 가르쳤다. 따르지 않으면 무례하다고 했다. 위계와 서열을 큰 가치로 여기고 중시했다. 이제 꼰대들도 꼰대를 싫어하고 피하려 한다.
꼰대의 의미는 확장됐다. 나이 든 세대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낡은 가치를 가진 사람’이 꼰대다. 도처에 ‘꼰대 자가 진단법’, ‘꼰대 피하는 법’이 널려 있다. 분별 없이 아줌마라고 말할 일이 아니다. 아줌마에는 여전히 부정적 뉘앙스가 들어 있다. 생각 없이 길 가는 여성을 아줌마라고 하는 것도 꼰대다.
wlee@seoul.co.kr
2021-06-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