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유엔은 이 공용어들의 날을 마련해 기념한다. 목적은 여섯 공용어의 평등한 사용, 문화 다양성 촉진이다. 각 언어의 역사와 문화, 업적을 알리고 인식을 높이려는 취지도 있다.
아랍어의 날은 12월 18일. 아랍어가 유엔 공용어로 채택된 날이다. 이 날짜에 의미를 뒀다. 유엔은 아랍어가 인류의 문화적 가치로 보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유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아랍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아랍어 영상물을 제공한다. 중국어의 날은 4월 20일. 24절기 중 하나인 곡우 날이다. 중국에서 한자를 창조했다고 전해지는 창힐을 기린다. 영어의 날은 4월 23일.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태어난 날이다. 프랑스어의 날은 3월 20일. 프랑스어 사용 국가 공동체인 ‘라 프랑코 포니’ 40주년인 날이다. 이날 유엔 주관으로 프랑스어 영화를 상영하고, 유엔 직원들에게 프랑스어 수업도 진행한다. 러시아어의 날은 6월 6일. 러시아 근대문학의 시조 알렉산드르 푸시킨 탄생일이다. 러시아와 옛소련 나라들을 포함해 여러 나라에서 기념행사를 한다. 스페인어의 날은 4월 23일. ‘돈키호테’의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이날 사망했다.
2007년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총회에서 한국어가 국제특허협력조약 국제 공개 언어로 채택됐다. 2009년 유엔 공용어 문제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한국어가 유엔 공용어로 채택되도록 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공감했지만, 먼 훗날의 이야기로 들렸다. 꿈이지 현실이 되기는 어렵다고 여겨졌다. 다른 움직임이 이어지지도 않았다.
지난주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가 한국어를 유엔 및 국제기구 공용어로 지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했다. 반크는 한류 팬 1억명 시대에 한국어의 유엔 공용어 지정은 마땅하다고 밝혔다.
일본은 오래전부터 일본어의 유엔 공용어 채택을 위한 노력을 해 왔다. 인도는 힌디어가 공용어가 되는 데 관심이 크다. 이 나라들과 연대하고 남북이 힘을 합칠 수도 있겠다.
꿈이 아니라 현실이 될 수 있다. 한국 문화가 전 세계인이 누리고 싶은 문화의 꼭대기에 있다. 모든 언어의 꿈 한글로 적는 한국어. 세계 도처에서 한국어를 원한다.
2021-12-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