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딱통’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딱통’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11-29 00:00
수정 2014-11-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즐기는 삼겹살의 유래를 몰랐다. 1960년대 값싸진 소주의 안주용으로 개발됐느니, 1980년대 건설 노동자들이 슬레이트에 얹어 구워 먹었느니 하는 설이 있다. 1994년 국어사전에 실렸다 하고 어법상 세겹살로 써야 맞단다. 치솟는 삼겹살 값어치만큼 가격 불만은 크다. 몇 년 전 1인분에 5000원이던 것이 두 배를 넘어 만원대 중반인 곳도 더러 있다. 유통 구조 탓이려니 하지만 상추값 올랐다며 안 내리고, 돼지값 내려도 못 내린다는 ‘남 탓’은 곧이 들리진 않는다. 오르면 요지부동이니 할 말이 다들 비슷하지 싶다.

불경기 탓인지 ‘딱통’(새끼를 낳기 위한 돼지)이 도매시장에서 인기라고 한다. 급외 판정을 받아 음식점 유통이 안 되지만 버젓이 나돈다. 음식점에서 1인분에 2000원짜리를 찾는 것이 어렵지 않다. 백신주사를 자주 맞아 ‘항생제 덩어리’라니 걱정된다. 팍팍한 세상을 파고든 잘못된 상혼이다. 시골 마을 잔칫날, 가마솥에서 익힌 돼지 수육 맛이 일품이었다. 두툼한 고깃살에 묵은김치를 얹거나 굵은소금을 찍어 한 입 넣는 맛은 비할 데가 없었다. 어제부터 시작된 늦가을 비가 주말에도 내린단다. 소주 한잔 곁들인 옛 입맛이 다셔진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1-2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