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광장 한편에 있는 그 나무집 벽면에는 옹이가 빽빽하다. 옹이는 나무에 가지가 난 자리다. 튼튼한 목재로 써야 할 때는 잘 안 쓰곤 한다. 목재의 생채기로 다뤄지며 미관상 아름답지 않게 여기는 탓이다. 하지만 나무가 세월의 켜를 쌓아가며 둘레를 넓히는 동안 옹이 또한 많아질 수밖에 없다. 그만큼 성장했으며, 그만큼 많은 상처와 아픔을 간직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5년 남짓 한국사회 많은 국민들도 그랬다. 저마다 가슴에 옹이 몇 개씩 깊숙이 자람을 의식하며 지내 왔다. 고백컨대 그즈음 마침 한국에 없었다. 그래서였을까. 실감이 안 났다. 눈물을 펑펑 쏟다가도 꿈속인 듯했다. 한동안은 가슴에 뭔가 얹힌 듯 시시로 울적했다. 주변사람들과 낄낄대며 술잔 기울이다가도 문득문득 그랬다. 시간이 더 흘러 잊고 지내다 몇 걸음 앞서가는 학생의 가방에서 노란 리본이 흔들거릴 때 다시 마음속을 들여다보니 옹이가 곳곳에 박혀 있었다.
고작 24평짜리 집 하나 짓는데 왜 그처럼 옹이 많은 목재로 지었을까. 잊지 말자는 다짐일 테다. 또 당신 안의, 내 안의 생채기 같은 옹이의 기억을 밖으로 드러내는 것일 테다. 기억과 빛의 공간이다. 훼손하지 말자. 부디 정치를 빼고 순수하게 바라보고 기억했으면 한다.
5년 남짓 한국사회 많은 국민들도 그랬다. 저마다 가슴에 옹이 몇 개씩 깊숙이 자람을 의식하며 지내 왔다. 고백컨대 그즈음 마침 한국에 없었다. 그래서였을까. 실감이 안 났다. 눈물을 펑펑 쏟다가도 꿈속인 듯했다. 한동안은 가슴에 뭔가 얹힌 듯 시시로 울적했다. 주변사람들과 낄낄대며 술잔 기울이다가도 문득문득 그랬다. 시간이 더 흘러 잊고 지내다 몇 걸음 앞서가는 학생의 가방에서 노란 리본이 흔들거릴 때 다시 마음속을 들여다보니 옹이가 곳곳에 박혀 있었다.
고작 24평짜리 집 하나 짓는데 왜 그처럼 옹이 많은 목재로 지었을까. 잊지 말자는 다짐일 테다. 또 당신 안의, 내 안의 생채기 같은 옹이의 기억을 밖으로 드러내는 것일 테다. 기억과 빛의 공간이다. 훼손하지 말자. 부디 정치를 빼고 순수하게 바라보고 기억했으면 한다.
2019-05-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