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끼는 밖에서 해결하기로 아내와 약속했다. 한 달쯤 됐다. 거창한 뜻은 없다.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동네 식당들을 거들자는 생각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보다 얄팍한 계산이 더 크게 작용했다. 재택근무를 하는 날이 늘어나 하루 세 끼를 꼬박꼬박 집에서 챙긴다는 지청구를 피하자는 심산이었다. 벌써부터 ‘삼식이’ 소리를 들을 수는 없지 않겠는가.
물론 아내는 좋아라 한다. 하루 일과가 마무리되면 동네를 한 바퀴 돌며 어느 식당을 갈까 탐색을 하는 재미도 있다. 중국 남부 쓰촨성이나 베트남, 캄보디아를 여행할 때 봤던, 아침부터 저녁까지 모두 밖에서 해결하는 모습이 시나브로 우리에게도 자연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치솟는 물가 때문에 어떤 때는 동네 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것이 훨씬 나은 선택이라고 아내도 얘기한다.
그래서 아내와 가급적 손님이 많지 않으면서도 가격이 싸지만 음식은 맛있게 하는 식당을 찾기로 의견을 모았다. 엊그제는 아내가 오랜만에 회가 동한다고 해 동네 유명한 갈비집을 찾았는데 아니나 다를까 줄을 서야 했다. 건너편 가게에서 파리를 쫓던 아주머니들의 호객 소리가 목덜미를 자꾸 잡아챘다. 이런 딜레마는 도무지 해답을 찾기 어렵다.
물론 아내는 좋아라 한다. 하루 일과가 마무리되면 동네를 한 바퀴 돌며 어느 식당을 갈까 탐색을 하는 재미도 있다. 중국 남부 쓰촨성이나 베트남, 캄보디아를 여행할 때 봤던, 아침부터 저녁까지 모두 밖에서 해결하는 모습이 시나브로 우리에게도 자연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치솟는 물가 때문에 어떤 때는 동네 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것이 훨씬 나은 선택이라고 아내도 얘기한다.
그래서 아내와 가급적 손님이 많지 않으면서도 가격이 싸지만 음식은 맛있게 하는 식당을 찾기로 의견을 모았다. 엊그제는 아내가 오랜만에 회가 동한다고 해 동네 유명한 갈비집을 찾았는데 아니나 다를까 줄을 서야 했다. 건너편 가게에서 파리를 쫓던 아주머니들의 호객 소리가 목덜미를 자꾸 잡아챘다. 이런 딜레마는 도무지 해답을 찾기 어렵다.
2021-08-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