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를 맑게 한다니 우리 식구들은 많이, 그리고 자주자주 먹어야 돼~.” 밥상 위에 미나리 반찬이 보일 때마다 듣는 말이다. 고지혈증 등 혈액 관련 질환을 염려하는 것이자 나물 반찬을 좋아하지 않는 식구들에게 억지로라도 먹여 보려는 심사라는 것을 모를 리 없다.
건강 관련 정보들이 넘쳐난다. 생강과 마늘은 폐와 대장에 좋고, 김과 다시마는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올려 준다. 감자, 시금치, 양배추 등은 위장을 튼튼히 하고 은행, 녹차 등은 심장 건강을 돕는다는 정보는 이제 상식 수준이다.
개구리, 굼벵이, 뱀 등이 몸에 좋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수요가 폭발한 적도 있었다. 만약 정력제라는 풍문이라도 돌게 되면 씨가 마를 정도로 찾아 댄다. ‘먹는 음식이 곧 약’이라는 식약동원(食藥同原)의 믿음이 깊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건강에 좋다는 음식이나 약을 찾기에 앞서 나쁜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만병의 근원은 잘못된 생활 습관 때문이라는 것은 민간요법이든 현대의학이든 모두가 인정하는 상식 아닌가. 미나리 반찬을 챙겨 주는 것도 좋지만 음주나 나쁜 습관을 갖지 않도록 바가지를 자주 긁어 주는 것이 가족 건강에 더 도움이 될 수도….
건강 관련 정보들이 넘쳐난다. 생강과 마늘은 폐와 대장에 좋고, 김과 다시마는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올려 준다. 감자, 시금치, 양배추 등은 위장을 튼튼히 하고 은행, 녹차 등은 심장 건강을 돕는다는 정보는 이제 상식 수준이다.
개구리, 굼벵이, 뱀 등이 몸에 좋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수요가 폭발한 적도 있었다. 만약 정력제라는 풍문이라도 돌게 되면 씨가 마를 정도로 찾아 댄다. ‘먹는 음식이 곧 약’이라는 식약동원(食藥同原)의 믿음이 깊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건강에 좋다는 음식이나 약을 찾기에 앞서 나쁜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만병의 근원은 잘못된 생활 습관 때문이라는 것은 민간요법이든 현대의학이든 모두가 인정하는 상식 아닌가. 미나리 반찬을 챙겨 주는 것도 좋지만 음주나 나쁜 습관을 갖지 않도록 바가지를 자주 긁어 주는 것이 가족 건강에 더 도움이 될 수도….
2021-08-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