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멀티태스킹 능력/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멀티태스킹 능력/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1-12-01 20:32
수정 2021-12-02 0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얼마 전 운전 중에 옆자리의 지인으로부터 “혹시 안 좋은 일이 있느냐”란 말을 듣고 난감했던 적이 있다. 나도 모르게 그의 말을 흘려듣고 대꾸를 안 했나 보다. 아차 싶어 “그게 아니다. 미안하다”고 상황을 수습했다. 운전 중 복잡한 길을 지날 땐 나도 모르게 긴장해 옆 사람의 말이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란 설명도 덧붙였다. 실제로 운전 중 대화하다가 차로를 잘못 들거나 고속도로 출구를 놓치는 일이 종종 있다.

운전할 때뿐만이 아니다. 언젠가 사무실에서 회의시간에 쫓겨 준비에 집중하고 있는데 부스 건너편의 동료가 말을 걸었다. 내가 반응을 하는 둥 마는 둥 하니까 그가 조심스럽게 “기분 안 좋은 일 있느냐”고 물었다. 결국 “내가 태생적으로 ‘멀티’가 안 된다. 정말 미안하다. 회의 뒤에 얘기하자”고 사과했다.

다른 사람들에 비해 유독 한 번에 여러 일을 처리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에 약하다 보니 가끔 ‘날 혹시 무시하는 건가?’란 오해를 받는다. 그렇다고 시간에 쫓기거나 복잡한 길을 운전할 때 옆 사람에게 미리 양해를 구할 수도 없으니 그때그때 사과하는 수밖에 없다. 현대사회에선 갈수록 멀티태스킹 능력이 요구된다고 하는데 은퇴가 가까워 오는 걸 그나마 위안으로 삼아야 할까 보다.

2021-12-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