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AI 부작용/이동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AI 부작용/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3-06-13 02:45
수정 2023-06-13 0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세상이 너무 빨리 변한다”는 말을 실감한다. 이제는 창작영역까지 대신해 준다는 ‘챗GPT’에 이어 인간과 사랑을 나누는 인공지능(AI)도 상용화됐다니 어리둥절하다. 실제 미국 뉴욕에서 두 아이를 가진 30대 싱글맘은 앱에서 만난 ‘남성’과 결혼해 달콤한 신혼을 즐기고 있다는 뉴스가 있었다. ‘AI 남편’인 셈이다.

며칠 전 과학관에서 ‘나이 맞히기’라는 AI 기술을 경험했다. 대형스크린 앞에 서니 “기분이 좋아 보여요”라는 자막과 함께 실제 나이보다 20년 이상 적은 나이를 알려 줬다. 우쭐한 마음에 다른 것을 관람하던 아내를 불러 화면 앞에 세웠더니 “화내지 마세요”라는 자막과 함께 엇비슷한 나이를 표기했다. 웃음보가 터졌지만 몇 번을 반복해도 결과는 비슷했다. “마음가짐을 밝게 하고 젊게 살아야지”라며 은근히 약을 올리니 대뜸 쏘아붙인다. “남편이 애먹이고 자식 뒷바라지하느라 표정이나 몸매가 다 망가진 거지”라며 짜증을 부린다. “AI 부작용이겠지”라며 다른 곳으로 옮겼다.
2023-06-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