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싱가포르-대만 라인/진경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싱가포르-대만 라인/진경호 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18-05-11 22:36
수정 2018-05-11 23: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역사적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로 싱가포르가 낙점된 배경으로 이곳이 지닌 정치적 중립성과 편의성, 인프라 등이 꼽힌다. 싱가포르는 무엇보다 북·미 양국과 국교를 맺고 있는 나라다. 남북한은 1975년 8월과 11월에 각각 수교했다. 2016년 대북 교역액이 1299만 달러(약 144억원)로, 북한의 7번째 교역 상대국에 오를 만큼 비교적 북한과도 가까운 관계를 유지해 왔다. 중립적 요소로 분류될 항목들이다. 평양에서 비행거리가 약 4700㎞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용기를 타고 갈 수 있는 데다 대규모 국제회의가 빈번한 도시로서의 인프라와 안전성 역시 높은 점수를 줄 만한 나라다.
그러나 이런 표면적 요소 말고도 최근 미국과 북한, 중국의 움직임을 고려하면 미국이 싱가포르를 선택한 지정학적 이유가 따로 있을 개연성도 엿보인다. 바로 싱가포르가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 패권 경쟁이 첨예하게 펼쳐지고 있는 동아시아 ‘싱가포르-대만 라인’의 핵심축인 점을 감안했을 가능성이다.

싱가포르는 중국계 인구가 74%에 이르지만 전통적으로 1995년 수교 이후 줄곧 중국과 일정한 거리를 둬 온 나라다. 반면 미국과는 ‘해상위협 대응 연합군사훈련’(CARAT)이라는 이름 아래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과 함께 연례 군사훈련을 벌일 만큼 경제적, 외교적, 안보적으로 가깝다. 지금도 미국의 연안초계함과 해상초계기가 싱가포르에 상시 주둔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남중국해 장악 시도에 맞서 둥사군도(중국 대 대만), 중사군도(중국 대 대만ㆍ필리핀), 난사군도(중국 대 대만ㆍ필리핀ㆍ베트남ㆍ브루나이)를 중심으로 ‘항행의 자유 작전’(FONOPs)을 앞세운 안보·경제 지원을 통해 역내 주변국들과 일종의 바리케이드를 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의 중국 동진(東進) 차단선의 양 끝점이 대만과 싱가포르인 것이다. 이곳에서 중국의 전통혈맹인 북한의 핵무장을 해제시킨다면 그 자체로 동북아뿐 아니라 동남아 남중국해 주변국들에 ‘미국의 힘’을 보여 주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과의 패권 경쟁에서 새로운 동력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

미국이 중국과 불편한 관계인 몽골도 회담 후보지로 검토했고, 김 위원장이 부랴부랴 중국 다롄으로 날아간 이유가 시 주석으로부터 싱가포르 회담 개최에 양해를 받으려 했던 것이라는 보도까지 나오는 상황이고 보면 ‘싱가포르’의 함의는 뜻밖에 커진다. 동북아 냉전 체제와 동남아 미·중 패권 경쟁이 만나 소용돌이치는 아우라지가 되는 셈이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8-05-1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