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인접국인 카타르와 터키의 도움과 일본 정부의 노력 끝에 무사 귀환에 성공했지만 그를 향한 여론은 싸늘했다. 일본 정부가 2011년에 시리아 지역을 자국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피난 권고 지역으로 지정했음에도 야스다가 이를 무시해 정부와 국민에게 폐를 끼쳤다는 비판이 쇄도했다. 분쟁지역 취재의 불가피성과 알권리를 위한 기자 정신을 옹호하는 반론이 언론계 등에서 제기됐지만 비난 여론은 식지 않았다.
프랑스도 지금 비슷한 상황이다.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에서 무장세력에 붙잡혔다가 지난 10일(현지시간) 구출된 자국 여행객들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 구출된 프랑스인 남성 2명은 프랑스 정부가 지정한 여행금지구역에 들어갔다가 피랍됐다. 이들을 구하려고 투입된 특수부대원 중 2명이 숨지면서 여론은 더 악화됐다.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무장관은 “우리 국민 2명이 있던 곳은 적색경보 지역이었다. 그곳에 가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며, 가게 되면 중대한 위험을 지게 된다는 의미”라며 정부 권고가 지켜지지 않은 데 대한 안타까움을 피력했다.
이번에 구출된 여행객 중 한국인 여성 1명이 있어 우리 사회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일고 있다. 이 여성은 부르키나파소에서 남쪽에 있는 베냉으로 이동하던 중 국경검문소에서 미국 여성과 함께 무장세력에 납치돼 프랑스인 2명 등과 28일간 억류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외교부는 부르키나파소 남부를 여행자제지역, 북부를 철수권고 지역으로 지정해 놓고 있다. 이 여성은 장기 해외여행을 하던 중으로, 가족들의 실종 신고가 없어 정부가 사전에 피랍 사실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한다.
연간 해외여행객이 3000만명이다. 해외여행이 보편화해 남들이 가지 않는 오지나 위험지역을 여행하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개인으로선 모험심 발현과 한계 극복의 도전이겠으나 정부가 지정한 위험국가를 여행하는 것은 자칫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란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국가가 나라 안팎에서 자국민의 안위를 지키는 것은 기본 책무이지만 그에 앞서 국민 스스로 본인의 안전을 최대한 지키는 노력이 먼저일 수밖에 없다.
coral@seoul.co.kr
2019-05-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