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은 교육에 기회일까, 재앙일까. 지난해 챗GPT가 나오면서 사고력 저하를 우려해 미국 뉴욕시 교육부는 모든 공립고에 챗GPT 사용을 금지했다. 홍콩대, 파리정치대 등도 같은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AI가 학생 사고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면서 수업에 활용하는 대학들도 적지 않다.
교육부가 내년부터 도입하는 AI디지털교과서를 두고서도 이런 시각 차이가 있다. AI교과서는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과 수준별로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초 3~4년, 중 1년, 고 1년생이 영어, 수학, 정보 교과를 배울 때 기존 교과서와 함께 사용하게 된다.
정부는 AI교과서 사용으로 맞춤 학습을 기대한다. 현재 공교육에선 학습 능력이 제각각인 학생들이 같은 교과서로 배우는 방식이다. 기초학력 미달자에 대한 보충이나 심화학습 요구는 방과후학교나 사교육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정식 수업에서부터 AI교과서를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업 능력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그런데 반론이 만만찮다. 학생의 사고력, 창의력을 떨어뜨리고 경제적 수준 차이에 따라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다. 이런 이유로 AI교과서 도입 유보를 촉구하는 국회의 국민청원이 5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어 지난 6월 국회 교육위원회에 회부됐다.
AI교과서 도입은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려면 학습동기 저하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해소해야 한다. 정부가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세워야 한다.
교사의 AI에 대한 인식 전환도 필요하다. AI는 교사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보조자라고 봐야 한다. AI가 학생의 학습 부진을 확인하고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더라도 학습 격차를 줄이고 학생을 정서적으로 보듬는 것은 교사의 몫이다. 교사들이 학생 못지않게 AI교과서로 어떻게 수업을 진행할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기술은 잘 쓰면 약이고 못 쓰면 독이다.
박현갑 논설위원
2024-08-2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