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대학입시 정책과 인문학의 미래/조광 고려대 한국사학 교수

[열린세상] 대학입시 정책과 인문학의 미래/조광 고려대 한국사학 교수

입력 2010-09-03 00:00
수정 2010-09-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대학입시의 부담을 줄여준다는 명목으로 수학능력시험(수능) 사회탐구과목의 대폭적 축소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국사, 세계사, 지리, 일반사회, 경제, 윤리 분야를 사회탐구영역으로 묶고 수능을 볼 때에는 그 가운데 한 과목만을 선택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번에 제시된 수능 간소화 정책은 고등학교 교육을 파행으로 이끌고, 인문학의 미래에 검은 그림자를 드리우는 무서운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이미지 확대
조광 고려대 한국사학 교수
조광 고려대 한국사학 교수
우리나라 고등학교 졸업생의 9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이들은 잘못된 사회적 인식과 교육정책 때문에 고등학교 생활에서 대학입시를 최대의 목적으로 삼게 되었다. 그래서 오늘날 우리 고등학교에서는 수능에서 단 1점이라도 더 올리기 위해서 온갖 지혜를 다 동원하고 있다.

대학합격률이 능력평가의 최대 기준인 사회에서 고등학교 당국은 영어, 수학, 국어(언어)를 강화하는 데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사회나 과학 과목의 영역에서도 수능 성적을 올리기에 상대적으로 쉬운 과목만을 선택하여 가르친다. 인성을 풍부히 하는 데에 꼭 필요한 예·체능 분야도 형식적인 수업에 그치고 있다. 이는 이른바 제9차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에도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그 잘못된 교육정책 때문에 학과목에 대한 균형적 이해나 인문적 소양을 기르는 것은 이미 물 건너간 일이 되었다.

인문학은 인간 자신이나 인간의 진정한 가치를 따지며, 삶의 의미를 궁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인문정신은 젊은이에게 앞날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주며, 나이든 사람들에게도 꿈을 잃지않는 힘을 준다. 인문정신은 창조력과 비판력의 원천이다. 인문정신은 엄격한 자기성찰을 통해서 우리 사회가 건강하게 지속될 수 있는 윤리와 도덕의 기준을 마련해준다.

인문학은 사회과학이나 응용과학과 같은 실용적 학문이 아니라 기초학문분야로 분류된다. 기초학문인 인문학은 도도히 흐르는 강물의 원천과도 같다. 원천이 말라 버리면 강물도 더 이상 흐르지 못한다. 인문학은 모든 실용적 분야의 창조를 가능케 하는 원천이기 때문이다. 인문학은 지하수와 같다. 지하수의 수맥이 마르면 땅위의 생명체가 사라지듯이, 인문학이 고갈되면 우리 사회는 비판정신이 소멸되고 역사적 방향감각을 잃게 될 것이다. 사회를 통합시킬 수 있는 힘을 잃고, 우리 문화는 점차 천박해진다.

예전부터 인문학은 문사철(文史哲), 즉 문학과 사학과 철학이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규정해 왔다. 인문학의 쇠퇴는 특정학문의 쇠퇴에만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의 미래를 파행으로 몰고 가는 주범으로 지목될 것이다. 그런데 지금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대학입시 정책에서는 인문학을 말라죽게 하려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가운데 역사과목은 지금 아예 개설되지도 않기에 이르렀다. 역사과목의 축소정책, 이를 사실상 폐지하려는 잘못된 대학입시 정책은 인문학과 인문정신을 황폐시키는 주범이다.

고등학교에서 영어, 수학, 국어를 강조하는 현상을 보고 어떤 이는 영어와 국어는 인문분야가 아닌가라고 반문할지 모른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생들이 대학입시만을 최대의 목적으로 하는 오늘의 현실에서, 영어나 국어는 인문정신을 키우는 일과는 거리가 멀다. 고등학교는 입시학원으로 변질되어 학생을 점수 따는 기계로 만들고 있다.

고등학교의 인문교육은 입시교육으로 대체되고, 대학에서의 인문학도 인간을 가르치는 학문이 아니라 시사영어만이 판을 친다면, 그 나라의 인문학적 상상력은 고갈될 수밖에 없다. 대학마저 기업체에서 주문하는 맞춤형 교육이 강조되는 취업예비학교로 전락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잘못된 대학입시정책에서 유래된 것이다. 고등학교 교육의 파행을 막고, 인문교육을 바로 잡으려면 대학입시정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재검토하기가 벅차다면, 종전의 방법대로 환원시켜도 좋다. 인문학의 미래는 이제 고등학교 교육에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교육과학기술부 당국의 대학입시에 대한 잘못된 정책이 하루빨리 고쳐져야 우리나라의 미래가 있을 것이다.
2010-09-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