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보이지 않는 사람’들을 위하여/박산호 번역가

[열린세상] ‘보이지 않는 사람’들을 위하여/박산호 번역가

입력 2021-03-23 17:20
수정 2021-03-24 0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박산호 번역가
박산호 번역가
그것은 우연한 만남이었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교보문고가 있어서 종종 가는데 얼마 전부터 소설 베스트 코너에 ‘파친코’라는 책이 보였다. 그때는 무심코 지나쳤는데 두 번째 우연히 찾아왔다.

내가 즐겨 찾는 SNS에 파친코 작가 이민진의 강연 영상이 올라온 것이다. 7살 때 미국으로 이민 가서 명문대를 나와 변호사로 일하다 작가로 전향한 그는 한 대학에서 열린 강연에 나와 참석해 준 가족과 동료 연구자들과 교수들을 하나하나 빼지 않고 고맙다는 인사를 했다. 그 부분을 들었을 때는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구나 싶으면서도 별 감흥이 없다가 마지막 부분을 듣는 순간 울컥했다.

그날은 눈이 많이 왔던지 그는 이렇게 말했다. “마지막으로 주목해야 할 분들은 바로 이 행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일하셨지만 그 노고를 인정받지 못하는 분들입니다. 이 강연장에 의자를 놓아 주신 분들, 이곳에 전등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해 주신 분들, 이곳이 따뜻하고 쾌적한 곳이 될 수 있게 애써 주신 분들, 우리가 여기 들어올 수 있게 눈을 치워 주신 분들에게 큰 빚을 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 말에 느닷없이 눈물이 쏟아져서 내가 왜 이러지 싶었던 순간 아주 오래된 기억 하나가 떠올랐다. 내가 나온 대학교는 외국어대학교라 과마다 전공어로 하는 원어 연극을 한다. 우리 과도 내가 3학년 때 하기로 했다. 연극반 출신인 선배가 연출, 아버지가 방송국에 계셔서 각종 소품을 조달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선배가 조연출, 그리고 내가 의상과 분장과 그 외 모든 잡일을 맡았다.

최진사댁 셋째 딸이란 전통적인 이야기를 각색한 대본으로 동기들과 선배들이 배역을 맡아 연습하는 동안 우리 삼총사는 뒤에서 공연 준비를 했다. 공연장을 섭외하고, 매번 연습실을 찾고, 의상과 분장을 챙기고, 그 외에도 생각보다 일이 많아서 공연하기로 결정한 날부터 실제로 무대에 올린 날까지 우리 삼총사는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만나서 일했다.

드디어 공연하는 날 여의도 방송국까지 가서 가져온 의상과 분장은 완벽했고, 배우들의 연기도 완벽했고, 무대도 화려했고, 관객들은 뜨거운 박수로 화답했다. 심지어 “뒤풀이까지 완벽했다”고 생각했는데…. 집에 가는 길이 몹시 허전했다.

나중에야 알았다. 그 허전함의 정체를. 나도 누구 못지않게 열심히 공연 준비를 했는데. 모든 스포트라이트와 찬사, 모든 격려는 배우들과 연출들에게로 갔다. 아무도 내게 수고했다고 어깨 한번 두드려 주지 않았다. 나는 그날 보이지 않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오랜 세월이 지나 이국의 한 강연장에서 작가의 진심 어린 인사를 듣자 그때 못 받은 격려를 받은 것 같은 마음에 그만 눈물이 쏟아진 것이다. 그가 언급한 그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 그 자리에서 그 다정한 말을 듣고 있었다면 나처럼 몰래 뜨거운 눈물을 흘렸을지도 모른다.

소설 ‘파친코’는 일제강점기라는 격동의 시대에 정말이지 피치 못할 이유나 사정이 있어 일본에 건너간 한국인들이 일본인들 속에서 보이지 않는 인간으로 살아가는 슬픈 역사를 그린 이야기다. 허나 보이지 않는 인간이 되어 차별받으며 인간으로서 마땅히 받아야 할 인정과 존중과 대우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일본에만 있을까.

매일같이 밥을 짓고, 청소와 빨래를 해서 가족의 일상을 유지하는 주부들, 제시간에 배달하기 위해 사력을 다하는 택배와 배달 노동자들, 쉴 곳도 없는 청소 노동자들, 우리가 보는 모든 영상물의 크레딧에 오르지 못하고, 우리가 읽는 책의 뒤표지에 나오지 않은 사람들. 다치고 죽어야만 뉴스에 잠깐 나오는 무수한 한국인과 외국인 노동자들.

빌 게이츠, 일론 머스크, 이재용과 같이 보통 명사화된 유명 인사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선망과 부러움과 열망의 스포트라이트를 그들에게 비추기란 너무도 쉽다. 또한 그 스포트라이트 밖에 서 있는, 보이지 않는 사람들을 못 보고, 혹은 외면하고 지나치는 것 역시 너무나도 쉽다. 그러나 그 쉬운 길의 여정에서 그들만 소외되는 것이 아니라 나 역시 소외된다. 나와 그들이 다른 것이 아니라 내가 그들이다. 내가 보이지 않는 사람이다.
2021-03-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