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바오로 2세, 냉전 붕괴에 기여
진보적 자유주의 이끈 프란치스코
시대정신 대변할 차기 교황에 주목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하면서 차기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가 5월에 개최될 예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영화 ‘콘클라베’의 개봉이나 유흥식 추기경의 행보를 둘러싸고 가톨릭 교인이 아니더라도 차기 교황 선출을 향한 관심이 크게 늘었다. 세계적으로도 14억 가톨릭 신자를 인도할 다음 지도자가 어떤 인물인지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2000년 기독교 역사의 상징이라는 점은 물론이고, 사실 현대 정치에서도 막강한 조직력과 통일성을 갖춘 가톨릭의 움직임이 결정적 역할을 한 때가 워낙 많았기 때문이다.가장 잘 알려진 사례는 1978년부터 2005년까지 교황을 지낸 요한 바오로 2세다. 그는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설파하는 세계의 영적 지도자라는 말년의 이미지가 유명하지만, 사실 교황에 오른 직후인 1980년대에는 동구권 공산주의 붕괴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정치적인 인물이기도 했다. 요한 바오로 2세의 고국인 폴란드는 당시 소련이 통제하는 공산정권이 통치하고 있었다. 이 와중에 보수적 교리를 지키면서도 보편 인권의 중요성을 설파한 요한 바오로 2세는 공산주의 무신론 정책에 불만을 품은 폴란드의 독실한 가톨릭 신도들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1979년 요한 바오로 2세가 폴란드를 방문했을 때 구름처럼 몰려든 폴란드인들은 무신론 정책에 대한 반발을 ‘우리는 신을 원한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표현했다. 이후 그는 레흐 바웬사가 주도한 폴란드 자유노조운동을 지원하며 1989년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 붕괴에 기여한 대표적 영웅으로 자리잡았다.
2013년부터 2025년까지 교황에 재임했던 프란치스코도 자신만의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고향인 아르헨티나와 라틴아메리카는 전통적으로 진보적 가톨릭 운동이 강세를 보인 곳이었다. 프란치스코는 교리 면에서 보수적이었던 요한 바오로 2세나 후임인 베네딕토 16세와 달리 더 진보적이고 적극적인 교리 해석을 바탕으로 성소수자, 이민자, 환경,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자신의 목소리를 냈다. 당연하게도 이는 그의 재임 시기에 절정에 달했던 진보적 자유주의라는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활동들이었다. 가톨릭교도나 다른 종교인들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해석이 21세기에 종교가 취해야 할 올바른 방향인지를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2025년은 어떨까. 요한 바오로 2세의 냉전과 프란치스코의 진보주의에 버금가는 현재의 문제라면 역시 종교 보수주의의 귀환일 것이다. 지금 서구 사회는 장기간의 세속화, 진보주의에 대한 불만과 피로감을 호소하며 공동체 보수주의를 주창하는 정치세력이 빠른 속도로 힘을 얻고 있다. “신, 가족, 국가”를 수호하겠다는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 프랑스 국민연합 지도자로 가톨릭 정체성을 강조하는 마린 르펜이 대표적이다. 물론 가장 중요한 인물은 미국 부통령인 JD 밴스다. 2019년 가톨릭으로 개종한 밴스는 가톨릭 보수주의를 부통령 취임 전부터 강조해 왔다. 프란치스코가 선종하기 직전 마지막으로 만난 이도 밴스였다. 밴스는 삶의 가치를 제시해 주는 가톨릭에 대한 미국인의 선호 증가가 국가 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상징과도 같은 인물이다. 그리고 서구의 진보적 자유주의의 영향을 훨씬 덜 받은 아프리카 등 비서구 보수적 가톨릭 신도들의 인구와 영향력도 점점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차기 교황은 현재 탄력을 받고 있는 가톨릭 보수주의와 어떻게 관계를 설정해 가느냐에 따라서 완전히 다른 존재감을 발휘할 것이다. 진보적 교황이라면 충돌할 것이고, 중도적 교황이라면 합의를 지키기 위해 애를 쓸 것이다. 만약에 보수적 교황이라면? 어쩌면 세계적인 가톨릭 보수주의 정치의 구심점이 되어 요한 바오로 2세를 능가하는 정치적 카리스마를 발휘할 수도 있다. 그러니 세계인의 영혼을 둘러싼 투쟁의 주요 이정표가 될 콘클라베를 흥미진진하게 지켜보도록 하자.
임명묵 작가


임명묵 작가
2025-04-29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