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졸로서 정권성공 돕는다지만…
4년여 전인 2006년 4월 민주당 대표 경선에서 오자와 이치로 간사장은 변화를 역설했다. 경선 직전 마지막 연설에서 이탈리아 영화 ‘들고양이’의 명대사를 인용, “변화하지 않고 살아남으려면 우선 내가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버트 랭커스터의 명대사를 인용해 당심을 흔들었고, 결국 경쟁자인 간 나오토를 꺾었다.14일 간 총리와의 리턴매치에서 오자와 전 간사장은 마틴 루터 킹의 명연설을 꺼내 들었다. “내겐 꿈이 있습니다.” 눈물을 머금은 채 갈라진 목소리로 돌아서는 당심을 붙잡으려 안간힘을 쏟았다. 그러나 이 노회한 백전노장은 끝내 정치자금 의혹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했고, 패배가 확정된 직후 “당의 한 병졸로서 민주당 정권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오자와가 일단 자숙하는 모양새를 갖추면서 물밑으로 재기의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당장 다음달 자신의 정치자금 문제와 관련, 시민으로 구성된 도쿄 검찰심사회가 강제기소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오자와는 강제기소될 경우 운신의 폭이 한층 좁아지지만 반대로 ‘결백’이 입증되면 그나마 정치적 입지가 넓어질 수 있다. 간 총리가 국정운영에서 헛발질을 거듭, 민심을 잃게 된다면 즉각 전면에 다시 나서려 할 수 있다는 시각에서다.
오자와는 경선에서 당내 현역 의원 411명 가운데 200명의 지지를 확보했다. 오자와 그룹 150명에다 50명의 지지자를 추가로 얻은 것이다. 당내 2대 세력인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 그룹이 오자와를 지지한 셈이다. 결국 오자와는 비록 졌지만 마음만 먹으면 자신이 공천·당선시킨 이른바 ‘오자와 칠드런’과 지지 의원을 앞세운 막후 정치를 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정작 그의 앞에 놓인 걸림돌은 돌아선 민심이다. 일본 언론은 오자와를 청산해야 할 구시대 정치의 화신으로 공격하고 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0-09-1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