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반체제 운동가 류샤오보(劉曉波)의 노벨평화상 시상식을 앞두고 반체제 인사와 그 가족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등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8일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2006년 정부가 도발적인 내용이 담긴 청년보 부록을 정간하면서 해직 기자가 된 루웨강(躍剛)은 이날 “당국이 아내의 출장을 막았다.”면서 “이유를 설명해주지 않지만 아마도 류샤오보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10일에 석방될 예정인 몽골족 반체제 운동 지도자이자 중국 내 최장기 복역 정치범인 하다의 가족도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현지 경찰은 하다의 아내를 구금했다. 아들에게는 부모와 관계를 끊으면 집과 직업을 제공하고 여자친구도 소개해 주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뉴욕 소재 남몽골인권정보센터가 밝혔다. 이 단체 관계자는 “노벨상 수상식을 비롯해 민감한 이벤트가 동시에 벌어진다.”면서 “이 때문에 중국 당국이 극도로 예민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1일에 원로 경제학자 마오위스(茅于軾), 2일에는 설치미술가이자 인권운동가인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출국을 잇따라 제지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이들을 포함, 200명 가량의 인사가 최근 감금되거나 가택 연금됐다고 추정하고 있다.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의 니컬러스 베겔린은 “중국에서는 정부가 시상식이 열리는 10일까지 체포나 투옥을 자제했지만, 이후 다른 반체제 인사들을 본보기로 처벌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노벨평화상 시상식 하루 전인 9일에 서방의 ‘정치적 입김’이 작용한 노벨상과 달리 중국의 시각이 담긴 ‘대안 평화상’을 시상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자 평화상’으로 이름 붙여진 이 대안상은 롄잔(連戰) 전 타이완 부총통을 첫 수상자로 선정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또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10일에 석방될 예정인 몽골족 반체제 운동 지도자이자 중국 내 최장기 복역 정치범인 하다의 가족도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현지 경찰은 하다의 아내를 구금했다. 아들에게는 부모와 관계를 끊으면 집과 직업을 제공하고 여자친구도 소개해 주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뉴욕 소재 남몽골인권정보센터가 밝혔다. 이 단체 관계자는 “노벨상 수상식을 비롯해 민감한 이벤트가 동시에 벌어진다.”면서 “이 때문에 중국 당국이 극도로 예민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1일에 원로 경제학자 마오위스(茅于軾), 2일에는 설치미술가이자 인권운동가인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출국을 잇따라 제지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이들을 포함, 200명 가량의 인사가 최근 감금되거나 가택 연금됐다고 추정하고 있다.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의 니컬러스 베겔린은 “중국에서는 정부가 시상식이 열리는 10일까지 체포나 투옥을 자제했지만, 이후 다른 반체제 인사들을 본보기로 처벌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노벨평화상 시상식 하루 전인 9일에 서방의 ‘정치적 입김’이 작용한 노벨상과 달리 중국의 시각이 담긴 ‘대안 평화상’을 시상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자 평화상’으로 이름 붙여진 이 대안상은 롄잔(連戰) 전 타이완 부총통을 첫 수상자로 선정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0-12-0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