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근로자 5명 중 1명은 재택근무”

“세계 근로자 5명 중 1명은 재택근무”

입력 2012-01-25 00:00
업데이트 2012-01-25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세계 근로자 5명 중 1명은 자주 집에서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체 근로자의 10%가량은 매일 재택근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와 로이터 통신이 24개국 근로자 1만1천3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해 24일(현지시간)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인도의 경우 전체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집에서 일해 조사 대상국 가운데 재택근무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인도네시아(34%)와 멕시코(30%)의 재택근무 비율이 높았고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등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반면 헝가리, 독일, 스웨덴,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는 재택근무 비율이 10%를 밑돌았다.

입소스의 이번 조사 책임자는 “신흥시장들에서 이같은 경향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지만 재택근무에 여전히 회의적인 서방 국가들이 이를 따라갈 것인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재택근무는 통근거리를 줄이고 일과 생활 사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여성 고용 유지를 비롯한 많은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 참여자의 65%는 재택근무자가 자신의 일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의 62%는 재택근무가 사회적 고립를 야기하고, 절반가량은 대면 접촉 부족이 자신의 승진 기회에 손해를 끼친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과 사적인 시간 사이의 경계가 모호한 재택근무로 인해 가족과의 충돌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응답도 전체의 53%를 차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