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은 15분간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생각만 하는 것 보다는 스스로에게 고통을 가하는 전기쇼크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고독을 못견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과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3일 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사람들이 혼자 있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 지 11건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고독을 참지못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실험에는 대학생, 교회와 시장에서 모집한 18~77세의 지원자 등 200여명이 참가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장식이 없는 방에 혼자 들어가 휴대전화, 읽을거리, 쓸거리가 없는 상태에서 6~15분간 있으면서 나름대로 생각을 하고 그 내용을 보고하도록 했다.
그 결과 실험 참가자의 57%가 사색에 집중하는 것이 어려웠다고 밝혔으며 89%는 여러가지 생각이 왔다갔다 했다고 보고했다.
거의 절반은 실험 자체가 유쾌하지 않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같은 반응을 바탕으로 “대부분 사람들은 ‘생각만 하는 것’을 달갑지 여기지 않으며 무언가를 하는 것을 오히려 좋아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또 고독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조사했다.
한 실험에서 학생들에게 집에서 생각하는 훈련을 하라는 주문을 한 결과, 32%가 앉아있던 의자를 떠나거나 음악을 감상하고 혹은 휴대전화를 만지는 등 엉뚱한 짓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다른 한 실험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조용히 사색하는 것보다 차라리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듣겠다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15분 동안의 고독을 참지 못하고 12~18세 남자의 3분의 2가 최소한 한차례 스스로에게 전기 쇼크를 주었다. 대부분 남자가 1~4회의 전기 쇼크를 마다하지 않았다. 한 사람은 무려 190차례 전기쇼크를 경험했다.
여자의 경우에는 24명 가운데 6명이 스스로에게 전기쇼크를 주었는 데 그 횟수는 1~9회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미국 버지니아 대학과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3일 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사람들이 혼자 있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 지 11건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고독을 참지못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실험에는 대학생, 교회와 시장에서 모집한 18~77세의 지원자 등 200여명이 참가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장식이 없는 방에 혼자 들어가 휴대전화, 읽을거리, 쓸거리가 없는 상태에서 6~15분간 있으면서 나름대로 생각을 하고 그 내용을 보고하도록 했다.
그 결과 실험 참가자의 57%가 사색에 집중하는 것이 어려웠다고 밝혔으며 89%는 여러가지 생각이 왔다갔다 했다고 보고했다.
거의 절반은 실험 자체가 유쾌하지 않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같은 반응을 바탕으로 “대부분 사람들은 ‘생각만 하는 것’을 달갑지 여기지 않으며 무언가를 하는 것을 오히려 좋아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또 고독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조사했다.
한 실험에서 학생들에게 집에서 생각하는 훈련을 하라는 주문을 한 결과, 32%가 앉아있던 의자를 떠나거나 음악을 감상하고 혹은 휴대전화를 만지는 등 엉뚱한 짓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다른 한 실험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조용히 사색하는 것보다 차라리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듣겠다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15분 동안의 고독을 참지 못하고 12~18세 남자의 3분의 2가 최소한 한차례 스스로에게 전기 쇼크를 주었다. 대부분 남자가 1~4회의 전기 쇼크를 마다하지 않았다. 한 사람은 무려 190차례 전기쇼크를 경험했다.
여자의 경우에는 24명 가운데 6명이 스스로에게 전기쇼크를 주었는 데 그 횟수는 1~9회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