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정부-시위대, 12일 이전 대화 시작 합의

홍콩 정부-시위대, 12일 이전 대화 시작 합의

입력 2014-10-07 00:00
수정 2017-07-28 1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위대 규모 6일 기점 급감…7일에도 예비접촉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2017년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 선거안 발표로 촉발된 홍콩 시민의 반중(反中) 시위 사태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가운데 시위대와 홍콩 당국이 12일 이전에 공식 대화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대학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香港專上學生聯會·학련)의 레스터 셤(岑敖暉) 부비서장과 정부 측 라우콩와(劉江華) 정치개혁·본토사무국 부국장은 6일 저녁 공식 대화를 위한 예비 접촉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블룸버그 통신과 홍콩 명보(明報) 등이 7일 보도했다.

양측은 ▲ 앞으로 여러 차례 대화하되 ▲ 대화는 직접적이고 상호존중의 기초에서 이뤄져야 하며 ▲ 정부가 대화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세 가지 원칙에도 합의했다.

정부 측 라우 부국장은 양측이 이번 주 내에 대화를 시작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측의 대화는 공개적으로 진행될 예정이지만 대화 의제와 장소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양측은 7일에도 다시 만나 의제와 장소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공식 대화 분위기는 조성됐지만 홍콩의 행정수반인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은 시위대에 최대한 빨리 해산할 것을 촉구했다.

렁 장관은 6일 밤 TV로 방송된 연설을 통해 주요 시위 지역인 몽콕(旺角) 지역이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면서 “폭력범죄를 예방하고 부상자 수를 줄이고자 경찰이 적절한 때에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위대 측은 그러나 정부가 남아있는 시위대를 강제 정리하면 합의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셤 부비서장은 “우리 입장은 분명하다”면서 “정부는 협상에서 결과가 나오기 전에 시위 지역 3곳을 정리하기 위해 폭력을 써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여전히 거리에는 일부 시위대가 남아 있으나 그 규모는 정부 청사 봉쇄가 풀린 6일을 기점으로 대폭 줄어든 양상이다.

한때 20여만 명에 달했던 시위대 규모는 6일 수백 명 수준으로 급감했으며, 거리 곳곳에 설치됐던 바리케이드도 일부 철거됐다.

또 홍콩 교육국은 시위 여파로 휴교했던 홍콩의 초·중·고등학교들도 7일부터 수업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홍콩 금융관리국은 은행들에 대해 최대한 빨리 영업을 재개하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홍콩의 대표적인 반중(反中)성향 신문인 빈과일보의 발행인인 지미 라이(黎智英)는 “정부가 협상에서 일시적으로 사람들을 달랠 조치를 약속하겠지만, 약속이 깨지면 사람들이 (거리로)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소강상태에 접어든 홍콩 시민의 반중시위는 정부와 시위대간 협상이 결렬되면 다시 격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