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말 우한연구소에서 일한 앤더슨
“연구소에서 아픈 사람은 없었다” 언급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바이러스 지적에
“원할 때 실제 작동하는 건 매우 어렵다”
“2019년 말 중국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코로나19로) 아픈 사람은 없었습니다.”
바이러스 전문가이자 우한연구소 내 BSL-4(생물안전등급 4) 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발병 때 근무했던 유일한 외국인인 대니얼 앤더슨은 “당시 이상할 만한 점은 없었다”며 이렇게 강조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한 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BSL-4 연구소는 생물안전도 최고 등급으로 그만큼 위험도가 가장 높은 바이러스를 다룬다. 우한연구소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으로 보는 이들이 문제의 장소로 지목하는 곳 중 하나다.
그는 우한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됐을 가능성 자체를 완전히 부인하지는 않았다. 2002년 아시아에서 발생했던 사스 바이러스가 이후 수 차례 연구소에서 유출된 바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앤더슨은 우한연구소에서 바이러스를 인공적으로 만들었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크게 무게를 두지 않았다. 그는 “우한 실험실은 여느 고성능 실험실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일반 실험실”이라며 “사람들이 의심하는 문제는 없었다”고 했다.
그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코로나19가 발생했다는 데 무게를 뒀다. 사스의 병원균이 자연에서 어떻게 발생했는지 역학 관계를 규명하는데 10년 정도가 걸렸다는 점에서, 코로나19 기원을 밝힐 ‘스모킹건’인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숙주 박쥐를 아직 찾지 못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도 했다.
그는 또 연구 중인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주변의 일반 시민에게 퍼질 가능성 역시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원할 때 실제로 (바이러스를) 작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
앤더슨은 그럼에도 기원과 함께 코로나19가 재앙 수준으로 확대된 경로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가 발현된 특정 원인이 있었고 야생동물과 사람이 밀접한 우한의 환경에서 새로운 동물원성 바이러스의 확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그는 “바이러스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장소에 있었고 모든 것이 이 재앙을 일으키기 위해 정렬됐다”고 평가했다.
바이러스 분야의 전문가인 앤더슨은 현재 호주 멜버른의 피터 도허티 감염 및 면역 연구소에서 일하고 있으며 지난해 11월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근원을 연구하기 위해 꾸린 국제 태스크포스(TF)의 전문가 12명 중 한 명이다.
“연구소에서 아픈 사람은 없었다” 언급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바이러스 지적에
“원할 때 실제 작동하는 건 매우 어렵다”
우한바이러스연구소에서 연구 중인 연구자들의 모습. AP 연합뉴스
“2019년 말 중국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코로나19로) 아픈 사람은 없었습니다.”
바이러스 전문가이자 우한연구소 내 BSL-4(생물안전등급 4) 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발병 때 근무했던 유일한 외국인인 대니얼 앤더슨은 “당시 이상할 만한 점은 없었다”며 이렇게 강조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한 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BSL-4 연구소는 생물안전도 최고 등급으로 그만큼 위험도가 가장 높은 바이러스를 다룬다. 우한연구소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으로 보는 이들이 문제의 장소로 지목하는 곳 중 하나다.
그는 우한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됐을 가능성 자체를 완전히 부인하지는 않았다. 2002년 아시아에서 발생했던 사스 바이러스가 이후 수 차례 연구소에서 유출된 바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앤더슨은 우한연구소에서 바이러스를 인공적으로 만들었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크게 무게를 두지 않았다. 그는 “우한 실험실은 여느 고성능 실험실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일반 실험실”이라며 “사람들이 의심하는 문제는 없었다”고 했다.
그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코로나19가 발생했다는 데 무게를 뒀다. 사스의 병원균이 자연에서 어떻게 발생했는지 역학 관계를 규명하는데 10년 정도가 걸렸다는 점에서, 코로나19 기원을 밝힐 ‘스모킹건’인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숙주 박쥐를 아직 찾지 못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도 했다.
그는 또 연구 중인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주변의 일반 시민에게 퍼질 가능성 역시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원할 때 실제로 (바이러스를) 작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
앤더슨은 그럼에도 기원과 함께 코로나19가 재앙 수준으로 확대된 경로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가 발현된 특정 원인이 있었고 야생동물과 사람이 밀접한 우한의 환경에서 새로운 동물원성 바이러스의 확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그는 “바이러스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장소에 있었고 모든 것이 이 재앙을 일으키기 위해 정렬됐다”고 평가했다.
바이러스 분야의 전문가인 앤더슨은 현재 호주 멜버른의 피터 도허티 감염 및 면역 연구소에서 일하고 있으며 지난해 11월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근원을 연구하기 위해 꾸린 국제 태스크포스(TF)의 전문가 12명 중 한 명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