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시리아·이라크 미군공습 보고서 보도
드론 및 정밀폭탄 등에도 잘못된 정보로 오폭
시리아 타격 땐 민가 오폭 해 120명 사망
8월 폭격한 카불 테러범은 美 구호단체 종사자
지난 8월 미군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과정에서 드론 공습으로 민간인 차량을 잘못 공격해 10명을 사망케 한 사건에 대해 미 국방부가 관련자 처벌을 하지 않기로 한 가운데, 미국의 민간인 오폭이 이외에도 적지 않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18일(현지시간) “2017년 3월 미군의 이라크·시리아 공습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청한 뒤 국방부 및 미군 중부군 사령부와의 소송을 통해 2014년 9월부터 2018년 1월까지 1300건 이상의 공습을 기록한 보고서를 입수했다”며 “미국의 약속은 드론과 정밀폭탄이 벌이는 전쟁이었지만 이 문서에 나와 있는 건 잘못된 정보 및 잘못된 표적, 민간인 사망, 부족한 책임 등이었다”고 전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때 중동 지역의 드론 공습은 지상군 투입을 대체하며, 전쟁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로 평가됐다. 당시 오바마는 이를 “역사상 가장 정확한 공중전”이라고 불렀고, 테러리스트를 정확하게 타격하되 민간인 희생은 최소화하는 신기술로 각광받았다.
하지만 지난 8월 아프간 철군 때 미군이 테러단체인 ‘이슬람국가 호라산’(ISIS-K)으로 지목해 공습한 인물이 “2006년부터 미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구호단체(NEI)에서 일한 전기 기술자”라는 보도가 나왔고, 해당 공습으로 아흐마디와 그의 자녀 등 민간인 10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방부는 “끔찍하고 비극적인 실수”였다며 사과했지만 지난 13일 “임박한 아프간 테러단체의 공격”을 막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였다며 책임자 처벌은 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해당 문서에 따르면 민간인 오폭 사례는 이외에도 다수 존재했다. 2017년 초 이라크에서 미군은 폭탄을 실은 차량을 공격했는데, 실제로는 폭탄은 없었고 인근의 전투를 피해 도망친 부모와 두 아이가 탄 차량이었다. 또 2016년 7월 19일에 미군 특수부대는 시리아 북부의 한 동네를 폭격해 85명의 무장조직 전투원들이 사망했다고 보고했지만 실제로는 민가를 타격해 120명 이상의 마을 사람들이 죽었다고 한다.
미 국방부는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ISIS 공습으로 민간인 1417명이 사망했다고 공표했지만, 이는 “실제보다 훨씬 축소된 것”이라고 했다. 또 미군의 오폭으로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미군이 위로금을 준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갖고 있어도, 불완전한 정보나 정보 오독에 따른 실수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실제 2016년 11월 미군은 ISIS가 운영하는 시리아의 폭발물 공장에서 폭발물인 질산암모늄으로 평가되는 ‘하얀 가방’이 발견됐다며 공습했지만 이후 조사에서 질산암모늄은 검출되지 않았고 해당 건물은 폭발물 공장이 아닌 ‘면 공장’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해당 공격으로 9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드론 및 정밀폭탄 등에도 잘못된 정보로 오폭
시리아 타격 땐 민가 오폭 해 120명 사망
8월 폭격한 카불 테러범은 美 구호단체 종사자
미국의 드론 오폭으로 숨진 아프가니스탄 희생자 유족들이 19일(현지시간) 카불의 오폭 현장에 남아있는 차량 잔해를 살펴보고 있다. EPA 연합뉴스
뉴욕타임스(NYT)는 18일(현지시간) “2017년 3월 미군의 이라크·시리아 공습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청한 뒤 국방부 및 미군 중부군 사령부와의 소송을 통해 2014년 9월부터 2018년 1월까지 1300건 이상의 공습을 기록한 보고서를 입수했다”며 “미국의 약속은 드론과 정밀폭탄이 벌이는 전쟁이었지만 이 문서에 나와 있는 건 잘못된 정보 및 잘못된 표적, 민간인 사망, 부족한 책임 등이었다”고 전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때 중동 지역의 드론 공습은 지상군 투입을 대체하며, 전쟁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로 평가됐다. 당시 오바마는 이를 “역사상 가장 정확한 공중전”이라고 불렀고, 테러리스트를 정확하게 타격하되 민간인 희생은 최소화하는 신기술로 각광받았다.
하지만 지난 8월 아프간 철군 때 미군이 테러단체인 ‘이슬람국가 호라산’(ISIS-K)으로 지목해 공습한 인물이 “2006년부터 미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구호단체(NEI)에서 일한 전기 기술자”라는 보도가 나왔고, 해당 공습으로 아흐마디와 그의 자녀 등 민간인 10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방부는 “끔찍하고 비극적인 실수”였다며 사과했지만 지난 13일 “임박한 아프간 테러단체의 공격”을 막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였다며 책임자 처벌은 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해당 문서에 따르면 민간인 오폭 사례는 이외에도 다수 존재했다. 2017년 초 이라크에서 미군은 폭탄을 실은 차량을 공격했는데, 실제로는 폭탄은 없었고 인근의 전투를 피해 도망친 부모와 두 아이가 탄 차량이었다. 또 2016년 7월 19일에 미군 특수부대는 시리아 북부의 한 동네를 폭격해 85명의 무장조직 전투원들이 사망했다고 보고했지만 실제로는 민가를 타격해 120명 이상의 마을 사람들이 죽었다고 한다.
미 국방부는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ISIS 공습으로 민간인 1417명이 사망했다고 공표했지만, 이는 “실제보다 훨씬 축소된 것”이라고 했다. 또 미군의 오폭으로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미군이 위로금을 준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갖고 있어도, 불완전한 정보나 정보 오독에 따른 실수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실제 2016년 11월 미군은 ISIS가 운영하는 시리아의 폭발물 공장에서 폭발물인 질산암모늄으로 평가되는 ‘하얀 가방’이 발견됐다며 공습했지만 이후 조사에서 질산암모늄은 검출되지 않았고 해당 건물은 폭발물 공장이 아닌 ‘면 공장’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해당 공격으로 9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