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2022.10.07 AP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08/SSI_20221008135512_O2.jpg)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2022.10.07 AP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08/SSI_20221008135512.jpg)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2022.10.07 A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매체들에 따르면 폭발은 현지시간 오전 6시(한국시간으로 정오)쯤 일어났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화물열차의 후단에 달린, 연료 저장 탱크가 실린 화차에 불이 붙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고 크림 철도공사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다만 선박이 다리 아래로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에는 피해가 없었다.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은 케르치해협 일대 선박의 항해에는 지장이 없다는 러시아 당국의 설명을 전했다.
타스통신은 러시아 연방도로공사 관계자를 인용해 크림대교를 건너는 양방향 차량 통행이 중단된 상태라고 보도했다. 크림 철도공사는 불이 붙은 화차로부터 기관차와 그 뒤에 붙은 다른 화차들 일부를 분리한 후 케르치 역으로 대피시켰다.
러시아는 2014년 크림반도를 점령한 후, 점령지를 러시아 본토와 연결하는 18㎞ 길이의 크림대교를 2018년 개통했다. 이는 유럽에서 가장 긴 교량이며 러시아는 이 다리를 짓기 위해 건설비 수조원을 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크림대교는 러시아 본토·크림반도를 잇는 핵심 보급로로서 러시아에 전술적·경제적 가치가 높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2월 러시아의 침공을 당한 후 크림대교를 파괴하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지난 6월 러시아는 크림대교가 공격을 받으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폭격하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아직 이번 탱크 화재에 따른 폭발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러시아가 2014년 크림반도를 점령한 후에도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를 자국 영토로 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