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 앞으로 더 많은 것 기대하라”

백악관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 앞으로 더 많은 것 기대하라”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3-01-05 17:07
업데이트 2023-01-05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일 워싱턴서 미일정상회담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 논의”
미 외교협회, 1등급 위협으로
북한·대만·우크라 등 7개 선정
이미지 확대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 AP 연합뉴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 AP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오는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리는 미일 정상회담에서 한미일 간 3자 군사협력 강화를 논의한다고 밝혔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4일 화상브리핑에서 미일 정상회담 안건에 대해 “미일이 북한 김정은 정권의 긴장 고조에 대응해 최근 몇주간 양자 군사훈련을 한 것을 봤을텐데, 앞으로도 그런 훈련을 계속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양자(미일) 군사협력뿐 아니라 일본, 한국, 미국의 3자 군사 협력을 개선할 방안을 계속 모색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더욱 많은 것들을 기대하라”고 했다.

북핵 위협에 대비한 한미 간 모의훈련(테이블탑 연습)과 같은 안건이 미일 정상회담에서도 논의되느냐는 질문에는 “앞서 나가지 말자”고 답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영토 재침범 땐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에 대해서도 “입장이 없다. 그건 윤 대통령이 이야기할 사안”이라고 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이날 신년 기자회견에서 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일본 외교안보의 기축인 미일동맹 강화를 대내외에 알리고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의 실현을 위해 더욱 심도있는 긴밀한 연계를 다시 확인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미국외교협회(CFR) 산하 방지행동센터(CPA)는 이날 보고서에서 안보 위협을 3개 등급으로 구분하면서 북한 문제, 대만 안보 위기, 우크라이나 전쟁의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확전 등 7개를 비상상황시 미국의 군사적 대응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1등급 위협으로 꼽았다.
워싱턴 이경주·도쿄 김진아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