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이란, 중국 등 미국 안보에 큰 위협이 되는 특정 국가들을 대상으로 ‘휴민트’(HUMINT· 인적정보) 수집에 적극적으로 나서려던 미국 국방부의 계획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국방부는 해외 비밀 첩보조직인 국방비밀공작국(DCS)을 보유 공작원 500명 수준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DCS의 목적과 예산 등과 관련해 의회 일각에서 이견이 끊이지 않아 애초 계획보다 축소된 규모로 운영되게 됐다면서, 이에 따라 국방정보국(DIA)이 공작원들을 훈련해 배치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2년 DCS 출범 계획이 발표될 때만 해도 국방부는 DCS 소속 공작원들을 해외에 배치해 중앙정보국(CIA)과 합동특수전사령부(JSOC) 등 관계기관들과 함께 대테러 공작과 광범위한 국가안보관련 임무에 활용할 계획이었다.
리언 패네타 전 국방장관과 CIA 출신인 마이클 빅커스 국방차관(정보담당) 등 DCS 옹호론자들의 지론은 간단하다. 이라크나 아프간처럼 ‘전술 지역’ 정보 수집과 공작 활동에서 벗어나 북한, 이란, 중국 등 미국 국가안보에 장기적이고 더 큰 위협이 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휴민트 수집에 집중하겠다는 구상이었다.
국방정보국 요원들은 핵확산 금지와 테러 방지 등 글로벌 이슈와 관련된 첩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고 정보기관 간 정보 공유도 미흡했던 것으로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신설되는 DCS는 정보 수집과 비밀공작의 우선순위를 확대해 궁극적으로는 미국의 정보 역량을 대폭 늘린다는 취지로 탄생했다.
그러나 실상은 달랐다. 공작원 훈련 계획이 축소된데다 공작원 임무가 상부기관인 국방정보국을 위한 정보수집 활동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방부는 DCS를 ‘효율성 높은 소수정예’(stay small but be highly effective) 조직으로 운영하는 한편, 공작원 수십 명을 이슬람 테러 조직 알 카에다와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등의 영향력이 여전한 아프리카와 중동 일부 지역을 포함한 ‘위험성이 고도로 높은 곳’에 파견할 계획이다.
운영 계획 축소에도 DCS 요원들은 CIA 요원들과 함께 ‘농장’으로 불리는 CIA 정보교육원서 훈련을 받고, 해외 임무 수행 시 현지 CIA 지부장의 통제를 받는 등 기본적인 내용은 특별한 변화가 없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WP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해외 비밀 첩보조직인 국방비밀공작국(DCS)을 보유 공작원 500명 수준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DCS의 목적과 예산 등과 관련해 의회 일각에서 이견이 끊이지 않아 애초 계획보다 축소된 규모로 운영되게 됐다면서, 이에 따라 국방정보국(DIA)이 공작원들을 훈련해 배치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2년 DCS 출범 계획이 발표될 때만 해도 국방부는 DCS 소속 공작원들을 해외에 배치해 중앙정보국(CIA)과 합동특수전사령부(JSOC) 등 관계기관들과 함께 대테러 공작과 광범위한 국가안보관련 임무에 활용할 계획이었다.
리언 패네타 전 국방장관과 CIA 출신인 마이클 빅커스 국방차관(정보담당) 등 DCS 옹호론자들의 지론은 간단하다. 이라크나 아프간처럼 ‘전술 지역’ 정보 수집과 공작 활동에서 벗어나 북한, 이란, 중국 등 미국 국가안보에 장기적이고 더 큰 위협이 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휴민트 수집에 집중하겠다는 구상이었다.
국방정보국 요원들은 핵확산 금지와 테러 방지 등 글로벌 이슈와 관련된 첩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고 정보기관 간 정보 공유도 미흡했던 것으로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신설되는 DCS는 정보 수집과 비밀공작의 우선순위를 확대해 궁극적으로는 미국의 정보 역량을 대폭 늘린다는 취지로 탄생했다.
그러나 실상은 달랐다. 공작원 훈련 계획이 축소된데다 공작원 임무가 상부기관인 국방정보국을 위한 정보수집 활동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방부는 DCS를 ‘효율성 높은 소수정예’(stay small but be highly effective) 조직으로 운영하는 한편, 공작원 수십 명을 이슬람 테러 조직 알 카에다와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등의 영향력이 여전한 아프리카와 중동 일부 지역을 포함한 ‘위험성이 고도로 높은 곳’에 파견할 계획이다.
운영 계획 축소에도 DCS 요원들은 CIA 요원들과 함께 ‘농장’으로 불리는 CIA 정보교육원서 훈련을 받고, 해외 임무 수행 시 현지 CIA 지부장의 통제를 받는 등 기본적인 내용은 특별한 변화가 없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WP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