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 ‘미투’ 폭로로 낙마한 CEO에 1300억원대 퇴직금 안 준다

CBS, ‘미투’ 폭로로 낙마한 CEO에 1300억원대 퇴직금 안 준다

최훈진 기자
입력 2018-12-18 11:38
수정 2018-12-18 1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10여년간 미국 지상파 방송 CBS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올 9월 제기된 성폭력 의혹으로 낙마한 방송계 거물 레슬리 문베스 전 최고경영자(CEO). 2018.12.18 AP 연합뉴스
지난 10여년간 미국 지상파 방송 CBS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올 9월 제기된 성폭력 의혹으로 낙마한 방송계 거물 레슬리 문베스 전 최고경영자(CEO). 2018.12.18
AP 연합뉴스
미국 지상파 방송사 CBS가 지난 9월 성폭력 추문으로 최고경영자(CEO)·이사회 의장직에서 물러난 미 방송계 거물 레슬리 문베스(68)에게 퇴직금 1억 2000만 달러(약 1342억원)를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CBS 이사회는 이날 성명을 내 “문베스는 사규를 어기고 회사와 체결한 고용 계약을 위반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사회는 과거 문베스가 10여명의 여성에게 성폭력을 저질렀다는 미 시사주간지 ‘뉴요커’ 보도가 나온 직후인 올 8월 2곳의 로펌을 고용해 문베스의 성폭력 의혹에 대해 자체 조사를 벌였다. 이후 추가 보도가 나오자 이사회는 성명을 내 그의 사임 소식을 알렸다.

당시 그가 받기로 한 퇴직금의 천문학적 액수가 알려지면서 여성단체들은 강력 반발했다. CBS는 여론을 의식해 문베스가 퇴직금 중 2000만 달러를(약 255억원)을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을 지원하는 단체들에 기부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비판은 잦아들지 않았다.

FT는 “고위 간부 개인이 저지르는 문제는 기업 전체의 브랜드 이미지 실추 및 주가 폭락으로 이어지는데도 죗값은 애먼 주주에게만 돌아간다. ‘미투’ 운동의 시대에 불명예 퇴진과 억대 퇴직금을 함께 챙겨 달아나는 CEO들의 명단은 갈수록 늘어날 것”이라고 거침없는 비판을 내놨었다.

직장 내 성폭력에 반대하는 단체인 ‘타임스업’은 지난주 열린 CBS 투자자 회의 장소를 찾아가 건물 밖에서 “문베스에 대한 무(無)보상이 아니면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외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1995년부터 CBS에 몸담은 문베스는 2006년 CE0 자리에 올랐다. 그는 쇠퇴해가던 TV·라디오 방송국을 디지털 플랫폼의 성공적인 프로그램 제공자로 변신시켜 CBS의 성공을 이끈 주역으로 평가받았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