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대 미인대회 흑인 싹쓸이...美에 대한 관점 바뀌나

미국 3대 미인대회 흑인 싹쓸이...美에 대한 관점 바뀌나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9-05-07 15:49
수정 2019-05-07 15: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스 아메리카, 미스 틴 이어 미스USA에서도 흑인 우승

이미지 확대
미스 USA로 선발된 흑인 여성 체슬리 크리스트 AP 연합뉴스
미스 USA로 선발된 흑인 여성 체슬리 크리스트
AP 연합뉴스
흑인 여성이 사상 처음으로 미스 USA·미스 틴 USA·미스 아메리카 등 미국 3대 미인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흑인 여성이 개별 대회에서 우승한 적은 있지만 3개의 우승 왕관을 동시에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네바다주 리노에서 열린 2019 미스 USA 선발대회에서 흑인 여성 체슬리 크리스트(28)가 최종 우승자에 선정됐다. 이는 지난달 개최된 2019 미스 틴 USA와 지난해 9월 열린 2019 미스 아메리카에서 흑인 여성 캐일리 개리스(18)와 니아 프랭클린(25)이 각각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3번째다. 흑인 여성이 3개 대회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한 것은 처음이다.

NYT는 이에 대해 “미국인들의 미(美)에 대한 관점이 인종주의와 ‘성적 고정관념’으로 훼손됐던 과거로부터 얼마나 많이 진화돼왔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상징”이라고 평가했다.
이미지 확대
2019 미스 틴 USA로 선정된 흑인 여성 캐일리 개리스 피플
2019 미스 틴 USA로 선정된 흑인 여성 캐일리 개리스
피플
가장 오래된 미인대회인 미스 아메리카는 1940년대까지 백인 여성들에게만 출전을 허용했다. 이후 반발이 일자 유색 인종 여성들에게도 출전 기회를 줬고, 1983년 배네사 윌리엄스가 흑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미스 USA와 미스 틴 USA에서는 각각 1990년과 1991년에 흑인 여성이 첫 우승을 차지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인 크리스트는 직업이 변호사로 법무법인에서 민사 소송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사우스캐롤라이나대에서 학사와 경영학석사(MBA) 학위를, 웨이크포리스트대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은 재원이다. 크리스트는 선발대회에서 ‘미투(나도 성폭력 피해자) 운동’에 대해 질문을 받자 “그 운동은 우리가 포용적인 일터와 안전을 조성하는 것에 관한 일”이라고 답했다.
이미지 확대
2019 미스 아메리카로 선정된 니아 프랭클린(가운데)가 지난해 9월 미국 뉴저지주 애틀랜틱 시티에서 열린 선발대회에서 우승을 확정짓자 관중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애틀랜틱시티 AP 연합뉴스
2019 미스 아메리카로 선정된 니아 프랭클린(가운데)가 지난해 9월 미국 뉴저지주 애틀랜틱 시티에서 열린 선발대회에서 우승을 확정짓자 관중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애틀랜틱시티 AP 연합뉴스
미 미인대회는 오랜 기간 백인 여성의 전유물이었다. 1921년 가장 먼저 시작된 미스 아메리카는 오랜 기간 ‘백인 여성만 참가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었다. 이에 반발한 흑인들은 1968년 미스 블랙 아메리카 선발대회를 신설했고, 미스 아메리카는 1971년이 되서야 처음으로 흑인 여성을 출전자 명단에 포함했다. 하지만 흑인 우승자가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미스 아메리카는 1984년에야 비로소 첫 흑인 우승자 윌리엄스를 배출했다.

흑인 여성들의 대회 3관왕 소식에 각계에서 축하 메시지가 이어졌다. 미 민주당 대선주자인 카말라 해리스 상원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여러분은 여러분의 방식으로 자신의 길을 만들어낸 개척자”라고 전했다. 흑인 최초로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 핼리 베리도 “과거의 미인대회 참가자로서 이 소식을 듣고 매우 기뻤다”고 밝혔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