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첫 흑인 총장 ‘불명예 퇴진’

하버드대 첫 흑인 총장 ‘불명예 퇴진’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4-01-03 23:57
업데이트 2024-01-03 2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反유대’ 이어 논문표절 의혹 겹쳐
고액 기부자들 압박에 결국 사임

이미지 확대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 AP 뉴시스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
AP 뉴시스
미국 명문 하버드대의 클로딘 게이(54) 총장이 2일(현지시간) 사임했다. 반유대주의 논란으로 공화당 정치인들과 고액 후원자들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아 온 게이 총장은 지난달 이사회의 재신임을 받았지만 논문 표절 의혹에 여러 상황이 중첩되면서 결국 스스로 물러났다.

게이 총장은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우리 공동체가 개인이 아닌 기관에 초점을 맞춰 이 도전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내가 사임하는 게 하버드에 최선이라는 점이 분명해졌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7월 취임하면서 하버드 386년 역사상 첫 흑인 여성 총장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5개월 후 미 하원 청문회에서 ‘학생들의 유대인 학살 주장이 대학 윤리 규범에 위배되는가’라는 질문에 “하버드 가치와 상충되나 우리는 혐오스런 견해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답하면서 ‘반유대주의’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게이 총장이 자신의 발언을 사과하고 대학 이사회가 그의 유임을 만장일치로 결정하면서 그는 위기에서 벗어나는 듯했다. 그러나 과거 논문 표절 의혹이 커지고 고액 기부자들이 공격을 이어 가면서 지지 기반이 위태로워졌다. 유대계 고액 기부자들이 속속 기부 철회 의사를 밝히고 지난해에는 기부금 수익률이 스탠퍼드대(4.4%)에도 못 미치는 2.9%에 그친 데다 하버드대 지원자가 전년도에 비해 17% 줄어든 것이 공격의 빌미가 됐다.

게이 총장은 사퇴하면서 “증오에 맞서고 학문적 엄정성을 지키겠다는 나의 약속, 나 자신의 근본적인 가치에 대한 의심을 받는 것은 고통스러웠다”며 “인종적 적개심에 기반한 인신공격과 위협은 두려웠다”고 덧붙였다.

일부 교수들은 게이 총장의 퇴진이 교육의 장에서 벌어진 정치적 압박의 승리라며 우려를 드러냈다. 이사회도 이날 낸 성명에서 “총장 사임 수용은 전반적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며 “이메일, 전화로 총장에게 인종차별적 독설이 있었다. 우리는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이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워싱턴 이재연 특파원
2024-01-04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