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만에 달러당 6.4221위안
“美 금리 인상 등 약세 압력 계속”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지폐.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08/SSI_20210108180855_O2.jpg)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지폐.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08/SSI_20210108180855.jpg)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지폐. AFP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달러당 위안화 가치는 뉴욕시장에서 장중 0.7% 하락한 달러당 6.4221위안을 기록해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봉쇄가 미칠 경제 충격을 우려하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매체는 분석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 기조로 달러 가치가 오르기 시작한 것도 영향을 줬다.
지난 18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4.8% 성장했다”고 밝혔다. 시장의 예상치보다 높았지만 3월부터 소매 판매가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경기 하강 추세가 뚜렷해졌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코로나19 봉쇄로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이뤄지지 못하는 것이 영향을 줬다. 곧바로 인민은행이 감염병 피해 지원과 부동산 경기 부양 등을 위해 23가지 금융 지원책을 내놨다. 앞서 인민은행은 15일에도 지급준비율을 0.25% 포인트 인하하며 ‘돈 풀기’에 나섰다. 글로벌 증권사 모넥스유럽의 사이먼 하비 외환 분석가는 “중국 당국이 올해 성장 여건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는 강한 신호”라며 “최근 위안화 약세는 이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기조를 고수하는 한 올해 3월 제시한 성장률 목표치(5.5% 안팎) 달성은 요원하다는 분석이 많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의 올해 GDP 성장률을 4.4%로 제시했다. 조너선 피터슨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경제성장 둔화와 양적 완화의 영향으로 위안화는 올해 내내 약세 압력을 받을 것”이라며 “반면 미국은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대대적인 금리 인상을 예고해 달러 가치는 상승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2022-04-2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