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상과 10번 회담·국회 첫 연설… 한중관계 기틀 잡아

한국 정상과 10번 회담·국회 첫 연설… 한중관계 기틀 잡아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2-11-30 22:22
업데이트 2022-12-01 0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쩌민, 한국과의 인연

삼성전자·현대차 방문 협력 논의
中 한반도 정책 실질적 변화 시작

이미지 확대
중국의 고립을 벗고 경제개혁으로 10년간의 고도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은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타계했다. 사진은 장 전 주석이 2002년 텍사스 A&M대 조지 부시 대통령 도서관에서 연설하는 모습. 칼리지스테이션(텍사스주)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의 고립을 벗고 경제개혁으로 10년간의 고도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은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타계했다. 사진은 장 전 주석이 2002년 텍사스 A&M대 조지 부시 대통령 도서관에서 연설하는 모습.
칼리지스테이션(텍사스주) 로이터 연합뉴스
30일 사망한 중국 장쩌민 전 국가주석은 한국을 찾은 첫 중국의 최고지도자이자 한중 수교를 토대로 양국 관계의 기틀을 잡은 주역이다.

한중 수교는 장 전 주석의 전임 지도자인 양상쿤 전 국가주석과 고 노태우 전 대통령 재임 때인 1992년 8월에 성사됐지만, 이듬해 국가주석에 오른 장 전 주석이 중국의 한반도 정책 변화를 이끌었다. 장 전 주석은 1993년 11월 고 김영삼 전 대통령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 시애틀에서 첫 한중 정상회담을 열었다.

김 전 대통령의 방중,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APEC 정상회담 등을 계기로 두 차례 한중 정상회담이 열린 후 장 전 주석은 1995년 11월 중국 국가주석으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장 전 주석의 한국 국회 연설은 중국 국가원수로는 외국 국회에서 한 첫 연설로 탈냉전 시대의 흐름을 극적으로 보여 준 한 장면으로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방한 당시 양국 간 경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장 전 주석은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공장과 현대자동차 울산 공장도 방문해 기술 협력과 현대차의 중국 진출도 논의했다. 장 전 주석은 방한 이후 김 전 대통령과 다자 정상회의를 계기로 두 차례 더 조우했고,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는 4차례 정상 간 대면 소통을 했다. 그는 2003년 3월 국가주석 자리에서 내려올 때까지 한국 대통령과 총 10차례에 걸쳐 회담을 해 중국의 개혁·개방 기조를 한중 간 폭발적 경협과 연계했다. 1989년 톈안먼 사태 이후 고립됐던 중국에 한국과의 경제 협력은 타개점이 됐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는 “한중 수교 이후 한반도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던 상황에서 장 전 주석의 재임기가 중국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실질적 변화로 이어졌다”며 “장 전 주석이 구축한 한국과의 경협 기조는 후진타오, 시진핑 재임기까지 쭉 이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김성은 기자
2022-12-01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