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파장’… 中 성장률 전망 5.8%서 2.3%로

‘델타 파장’… 中 성장률 전망 5.8%서 2.3%로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08-10 22:50
수정 2021-08-11 06: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감염 재확산에 수출 기대치 밑돌아
CNN “페루발 람다 변이도 확산 중”

코로나19보다 전염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세계를 강타하면서 글로벌 경기 회복의 새로운 복병이 됐다.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감염병 봉쇄 우려로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낮췄다. 국제유가도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하락했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3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 예상치(연율 기준)를 전 분기 대비 5.8%에서 2.3%로 크게 내렸다. 중국 정부가 델타 변이 확산을 억제하고자 지역 봉쇄 강화에 나선 점이 반영됐다. 10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전날 본토의 감염병 신규 확진자가 108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0일 장쑤성 난징발 재확산으로 일일 감염자가 세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처음이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올해 전체 성장률 전망치도 8.6%에서 8.3%로 하향했다. 이는 바이러스 확산이 한 달 안에 잡힌다는 가정에서다. 델타 변이 사태가 길어지면 실제 성장률은 더 낮아질 수밖에 없다. 중국 인민은행이 발행하는 파이낸셜뉴스도 “중국의 GDP 성장률(전년 동기 대비)이 3분기 6.5%, 4분기 5%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중국의 성장동력인 수출마저 기대치를 밑돌았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수출·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3%, 28.1% 늘었다. 세계 경제학자들이 전망한 예상치(20%·33%)를 하회했다. 델타 변이가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글로벌 수요 회복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풀이된다.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이 델타 변이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퍼지자 9일 미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80달러(2.64%) 하락한 배럴당 66.4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도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돼 혼조세를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CNN방송은 “페루발 변이인 ‘람다 변이’도 점차 세력을 넓혀 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텍사스 휴스턴의 병원에서 첫 환자가 보고된 뒤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미국 내 람다 변이 감염자가 1000명을 넘어섰다고 매체는 우려했다.

2021-08-1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