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차량에 부과금 도입 후 런던 도심 유독가스 3분의 1 감소”

“디젤차량에 부과금 도입 후 런던 도심 유독가스 3분의 1 감소”

입력 2019-10-21 17:08
수정 2019-10-21 17: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더타임스 보도…건강단체 “다른 도시에도 비슷한 제도 도입해야”

런던 시내에 ‘초저공해존’ 운영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런던 시내에 ‘초저공해존’ 운영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영국 런던 도심에서 디젤 차량에 부과금을 도입한 이후 이들 차량에 의한 유독가스 수준이 3분의 1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일간 더타임스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요금 부과가 이산화질소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도시에도 2016년 이전 디젤 차량과 2006년 이전 휘발유 차량을 대상으로 유사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망했다.

사디크 칸 런던 시장은 2017년 10월 배기가스 배출이 많은 노후 차량을 몰고 진입하는 사람을 상대로 10유로(약 1만5천160원)의 1일 독성요금 부과 제도를 도입했다.

이후 런던 도심 도로변에서 이산화질소는 ㎥당 85㎍(마이크로그램)에서 57㎍으로 낮아졌다.

독성요금은 런던의 ‘초저공해존’(Ultra Low Emission Zone·ULEZ) 적용의 일환으로, 지난 4월에는 12.50파운드(약 1만8천950원)로 올라갔다.

런던시 당국의 보고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런던 도심으로 진입한 ‘대기오염 유발 차량’ 대수는 지난 3월과 비교해 1만3천500대(38%) 줄어들었다.

그러나 런던 도심의 이산화질소 수준은 법정 한도인 ㎥당 40㎍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또한, 요금 부과 구역 내 거의 4분의 1 정도의 차량은 ULEZ 배출 기준을 위반한다.

이는 디젤 ‘블랙캡’(런던의 명물인 검은색 고급 택시) 차량이 요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런던 도심의 교통량은 지난해 이후 최대 9% 감소했는데, 이는 부과금 도입이 일부 운전자에게 도심 운전을 포기하도록 유도했다는 점을 암시하기도 한다.

ULEZ 부과금은 도로 교통에서 기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을 4% 감소시켰다고 신문은 전했다.

런던교통공사의 도시계획 담당인 알렉스 윌리엄스는 “이러한 초기 증거는 ULEZ가 사람들에게 더 환경친화적인 개인 차량과 걷기나 자전거 타기, 대중교통 이용하기와 같은 더 지속가능한 대안을 활용하도록 장려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영국 폐 재단을 이끄는 페니 우즈는 이러한 결과를 환영하면서 “대부분의 영국 도시들이 위험한 대기오염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주민 건강을 고려해 다른 도시에도 비슷한 구역을 설정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