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외무성이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글을 홈페이지에서 삭제했다.
외무성은 홈페이지 ‘역사인식’ 코너에 1995년 7월 18일 군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민간 기금인 ‘아시아여성기금’의 발기인 16명이 모금에 동참을 요청하는 대국민 호소문을 게시해 왔다가 최근 삭제한 것으로 12일 드러났다. 이 호소문에는 ‘10대 소녀까지 포함된 많은 여성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들고 군을 따르게 한 것은 여성의 근원적인 존엄을 짓밟는 잔혹한 행위였다’며 위안부 제도의 강제성과 반인도적 성격을 지적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앞서 일본 차세대당 야마다 히로시 의원은 지난 6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강제 연행은 없었다”고 주장하며 호소문의 삭제를 요구했다. 당시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삭제할지, 주석을 붙일지, 어떻게 적절히 대응할지 제대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외무성이 야마다 의원의 지적을 받아들여 호소문을 삭제한 것은 최근 아사히신문이 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과거 기사를 취소한 것을 계기로 보수·우익 세력이 일본 정부의 책임을 부정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외무성은 홈페이지 ‘역사인식’ 코너에 1995년 7월 18일 군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민간 기금인 ‘아시아여성기금’의 발기인 16명이 모금에 동참을 요청하는 대국민 호소문을 게시해 왔다가 최근 삭제한 것으로 12일 드러났다. 이 호소문에는 ‘10대 소녀까지 포함된 많은 여성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들고 군을 따르게 한 것은 여성의 근원적인 존엄을 짓밟는 잔혹한 행위였다’며 위안부 제도의 강제성과 반인도적 성격을 지적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앞서 일본 차세대당 야마다 히로시 의원은 지난 6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강제 연행은 없었다”고 주장하며 호소문의 삭제를 요구했다. 당시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삭제할지, 주석을 붙일지, 어떻게 적절히 대응할지 제대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외무성이 야마다 의원의 지적을 받아들여 호소문을 삭제한 것은 최근 아사히신문이 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과거 기사를 취소한 것을 계기로 보수·우익 세력이 일본 정부의 책임을 부정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10-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