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정권 저항 ‘세 손가락 경례’… 미얀마 축구선수 日 난민 인정

군사정권 저항 ‘세 손가락 경례’… 미얀마 축구선수 日 난민 인정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1-08-10 20:48
수정 2021-08-11 03: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리앤 아웅, 월드컵 예선서 경례 장면 방송
‘통과율 1%대’ 日 심사 엄격하기로 유명

이미지 확대
지난 5월 일본에서 열린 월드컵 예선전에서 미얀마 국가에 맞춰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있는 피 리앤 아웅. 연합뉴스
지난 5월 일본에서 열린 월드컵 예선전에서 미얀마 국가에 맞춰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있는 피 리앤 아웅.
연합뉴스
지난 5월 일본에서 열린 월드컵 축구 예선전에서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저항하는 의미로 ‘세 손가락 경례’를 했던 미얀마 선수가 일본에서 난민으로 인정받게 됐다.

10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당시 신변 위협을 느끼고 귀국을 거부한 뒤 난민 지위를 인정해 달라고 신청한 피 리앤 아웅(27)이 일본 출입국 관리 당국의 심사를 통과했다.

미얀마 축구 대표팀 교체 골키퍼인 리앤 아웅은 지난 5월 28일 일본 지바에서 열린 2022 카타르월드컵 축구 예선 일본과의 경기에 앞서 국가가 연주될 때 미얀마 군사정권에 대한 저항 표시인 ‘세 손가락 경례’를 했다. 이 장면은 TV 중계 카메라에 잡혔고 그는 저항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리앤 아웅은 지난 6월 16일 간사이공항에서 동료 선수들과 함께 미얀마행 항공기에 탑승하기 직전 “귀국하면 생명의 위험이 있다”며 일본 당국에 신변 보호를 요청했다. 이후 같은 달 22일 오사카 출입국재류관리국에 난민인정을 신청했다. 그는 지난달 일본 프로축구 J3리그 YSCC 요코하마에 연습생 신분으로 영입되는 등 일본 생활에 적응할 준비를 마쳤다.

일본의 난민 규정은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망명 신청자의 1%만 겨우 심사를 통과한다. 일본 정부는 지난 2월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미얀마 국민에 대해 5월 말부터 비자 기한 만료 후라도 체류를 원하면 ‘특정활동’ 체류 자격을 부여해 취업을 인정하고 난민 인정 신청을 신속히 심사하는 긴급피난조치를 적용하고 있다. 이 조치에 따라 난민으로 인정된 것은 리앤 아웅이 처음이다.

2021-08-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