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요소수 1ℓ에 300엔→1000엔… 70%가 자체생산인데 대란 왜?

日 요소수 1ℓ에 300엔→1000엔… 70%가 자체생산인데 대란 왜?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1-12-29 01:48
수정 2021-12-29 02: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수출 제한 여파 거래 가격 급등
자국 공장설비 보수 겹쳐 생산 차질
‘97% 의존’ 한국과 달라 오래 안 갈 듯

이미지 확대
“이달 주유소에서 20ℓ 구입했습니다. 지금은 입고 미정으로 희귀한 상품입니다.”

28일 일본 최대 중고거래 온라인 사이트인 ‘메루카리’에 자동차용 요소수 브랜드인 ‘애드블루’를 판매한다며 올라온 글이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요소수를 팔겠다며 약 20건의 게시물이 올라왔고 일부 물량은 빠르게 팔려 나갔다. 지난달 우리나라가 경유차 운행 필수품인 요소수 부족 사태로 골치를 앓았던 것처럼 일본도 요소수 품귀 현상을 겪고 있다. 1ℓ에 300엔(약 3100원)이면 구하던 요소수 거래 가격이 1000엔(약 1만 300원)으로 3배 이상 올랐지만 그마저도 물량이 없어 못 사는 형편이다. 한국의 요소수 대란 원인이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에서 비롯된 것처럼 일본 역시 중국의 수출 제한 여파를 겪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일본 내 요소수 생산 업체의 공장 설비가 보수에 들어가면서 생산에 차질이 빚어져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다.

일부 소비자들이 요소수를 사재기하거나 가격을 크게 올려 판매하자 전자상거래 업체도 대응에 나섰다. 메루카리는 “요소수를 판매하고 구입을 검토할 때 시장 동향과 정부 발표를 주시하고 냉정하게 행동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일본의 요소수 품귀 사태는 오래가진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요소의 97%를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일본은 어느 정도 자급이 가능하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요소수의 일본 수요량은 연간 약 10만t인데 이 가운데 30%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나머지 70%는 일본 미쓰이화학과 닛산화학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다.

미쓰이화학은 석간신문 후지에 “중국의 (수출 제한) 영향은 받지 않았다”며 “다만 지난 10월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정기 수리로 공장 가동을 정지하고 있었고 현재는 가동을 재개한 상태”라고 전했다. 경제산업성은 지난 24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는 국내 생산 업체에 요소수의 원료가 되는 요소를 최대한 증산하라고 요청했으며 업체가 이행하고 있다”면서 “내년 1월 중에는 요소의 국내 공급량이 평상시 수요량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며 중국 이외의 수입선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1-12-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