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애니 레보비츠 : 렌즈를 통해 들여다본 삶’에서 레보비츠는 고상한 사진작가라기보다 대규모 프로덕션 그룹의 리더에 더 가까웠다. ‘팔레르모 슈팅’의 주인공인 독일의 유명 사진작가 핀에게도 사진예술을 위한 한가하고 고독한 여유 같은 건 허락되지 않는다. 그는 앞장서서 전 과정을 지휘하는 연출자로 행세한다. 한 장의 사진은 수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작업한 결과물이다.
급기야 작업을 의뢰한 배우가 사진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얼굴을 내비치자, 핀은 도망치듯 이탈리아의 항구도시 팔레르모로 향한다. 그곳에서 만난 여인의 신비한 매력에 빠질 즈음, 그는 누군가 자신에게 죽음의 화살을 겨누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빔 벤더스는 ‘로드 무비의 제왕’으로 불린다. 그의 이름을 알린 초기작 ‘시간의 흐름 속으로’에 붙은 다른 이름은 ‘길의 제왕’이고, 훗날 ‘이 세상 끝까지’라는 제목의 영화를 만들었을 정도로 벤더스는 미지의 공간을 천착해 왔다. (보통의 영화와 달리)그의 영화에서 길은 목적이나 수단을 의미하지 않는다.
‘잘못된 움직임’에서 “무기력하고 지쳐 있을 뿐, 아직 자포자기의 심정은 아니야.”라고 읊조리던 빌헬름처럼, 벤더스의 인물들은 방황에 방황을 거듭할 따름이다. 인물과 마찬가지로 세상을 떠돌던 벤더스가 14년만에 고국 독일로 돌아가 만든 작품이 ‘팔레르모 슈팅’이다.
그런데 이번 영화의 주인공은 성격이 다르다. 쉬지 않고 장소를 옮겨 다니는 핀은 전형적인 벤더스의 인물이지만, 그의 발걸음은 구체적인 목적을 띠고 있으며, 그는 심각한 자세로 답을 찾는다. 결국 여행하던 자는 걸음을 멈추고, 움직임을 유지하던 영화는 정지의 이미지로 끝을 맺는다.
정신과 몸의 운동이 삶과 영화를 지탱하는 힘을 제공하던 때와 비교해 이번 작품에 대한 반응이 시큰둥했던 이유를 거기서 찾을 수 있다. 영상과 음악에선 젊고 세련된 감각이 여전하고, 영화의 주제인즉 옳은 말이나, 길의 동반자였던 벤더스가 갑자기 인생의 선배 노릇을 하려 드니 거북살스러울 수밖에.
물론 짐작되는 바가 없진 않다. 영화를 준비하던 중 잉마르 베리만과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죽음을 한날 접한 벤더스는 두 사람에게 작품을 바치기로 했다. 안토니오니와 작업을 함께했고, 베리만의 영화를 ‘영화사의 거대한 등대’로 흠모했던 벤더스는 헌사가 될 영화에 각별히 신중하게 임했을 게다.
문제는 그가 베리만의 ‘제7의 봉인’을 탐하면서 발생했다. 소외된 인물을 즐겨 다룬 그로선 차라리 안토니오니를 뒤따르는 게 훨씬 나았을 텐데 말이다. 죽음과 꿈을 연결한 판타지 끝에서 삶의 답을 든 채 ‘이렇게 살아’라고 권하는 태도는 벤더스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20년 전, 비슷한 주제를 다룬 ‘꿈’을 만들던 여든 살의 구로사와 아키라조차 초월의 경지엔 도달하기 힘들었다는 사실을, 벤더스는 먼저 기억했어야 했다. 22일 개봉.
영화평론가
급기야 작업을 의뢰한 배우가 사진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얼굴을 내비치자, 핀은 도망치듯 이탈리아의 항구도시 팔레르모로 향한다. 그곳에서 만난 여인의 신비한 매력에 빠질 즈음, 그는 누군가 자신에게 죽음의 화살을 겨누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빔 벤더스는 ‘로드 무비의 제왕’으로 불린다. 그의 이름을 알린 초기작 ‘시간의 흐름 속으로’에 붙은 다른 이름은 ‘길의 제왕’이고, 훗날 ‘이 세상 끝까지’라는 제목의 영화를 만들었을 정도로 벤더스는 미지의 공간을 천착해 왔다. (보통의 영화와 달리)그의 영화에서 길은 목적이나 수단을 의미하지 않는다.
‘잘못된 움직임’에서 “무기력하고 지쳐 있을 뿐, 아직 자포자기의 심정은 아니야.”라고 읊조리던 빌헬름처럼, 벤더스의 인물들은 방황에 방황을 거듭할 따름이다. 인물과 마찬가지로 세상을 떠돌던 벤더스가 14년만에 고국 독일로 돌아가 만든 작품이 ‘팔레르모 슈팅’이다.
그런데 이번 영화의 주인공은 성격이 다르다. 쉬지 않고 장소를 옮겨 다니는 핀은 전형적인 벤더스의 인물이지만, 그의 발걸음은 구체적인 목적을 띠고 있으며, 그는 심각한 자세로 답을 찾는다. 결국 여행하던 자는 걸음을 멈추고, 움직임을 유지하던 영화는 정지의 이미지로 끝을 맺는다.
정신과 몸의 운동이 삶과 영화를 지탱하는 힘을 제공하던 때와 비교해 이번 작품에 대한 반응이 시큰둥했던 이유를 거기서 찾을 수 있다. 영상과 음악에선 젊고 세련된 감각이 여전하고, 영화의 주제인즉 옳은 말이나, 길의 동반자였던 벤더스가 갑자기 인생의 선배 노릇을 하려 드니 거북살스러울 수밖에.
물론 짐작되는 바가 없진 않다. 영화를 준비하던 중 잉마르 베리만과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죽음을 한날 접한 벤더스는 두 사람에게 작품을 바치기로 했다. 안토니오니와 작업을 함께했고, 베리만의 영화를 ‘영화사의 거대한 등대’로 흠모했던 벤더스는 헌사가 될 영화에 각별히 신중하게 임했을 게다.
문제는 그가 베리만의 ‘제7의 봉인’을 탐하면서 발생했다. 소외된 인물을 즐겨 다룬 그로선 차라리 안토니오니를 뒤따르는 게 훨씬 나았을 텐데 말이다. 죽음과 꿈을 연결한 판타지 끝에서 삶의 답을 든 채 ‘이렇게 살아’라고 권하는 태도는 벤더스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20년 전, 비슷한 주제를 다룬 ‘꿈’을 만들던 여든 살의 구로사와 아키라조차 초월의 경지엔 도달하기 힘들었다는 사실을, 벤더스는 먼저 기억했어야 했다. 22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0-04-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