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性을 許하라” me,too

“장애인 性을 許하라” me,too

입력 2010-04-20 00:00
수정 2010-04-20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화 ‘미, 투’ 함께 본 특수교사 3인이 말하는 ‘장애인과 性’

스페인 영화 ‘미, 투’(Me, too)가 개봉됐다.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다니엘과 직장인 라우라의 특별한 우정과 사랑을 담은 이 영화는, 지금까지 무성(無性)적 존재로 치부됐던 장애인도 로맨스를 욕망할 수 있는 ‘사람’이란 점을 강조한다.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초·중·고등학교에서 장애인 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 3명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미, 투’를 본 소감, 나아가 장애인의 성(性) 문제를 짚어본다.

이미지 확대
영화 ‘미, 투’는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다니엘(오른쪽)과 직장인 라우라의 특별한 우정과 사랑을 그리고 있다.
영화 ‘미, 투’는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다니엘(오른쪽)과 직장인 라우라의 특별한 우정과 사랑을 그리고 있다.
특수교육에 몸담은 지 20년 됐어요. 많은 게 변했죠. 예전만 해도 장애인의 성은 금기시됐어요. “장애인들끼리 성관계를 못하게 해서 아이를 못 낳게 하자.”는 식의 말이 당연하게 여겨졌죠. 자위행위도 못하도록 교육했어요. 운동을 과하게 시켜 성욕을 억제하는 식으로요.

이미지 확대
다행히 요즘은 ‘아무도 없는 곳에서 하라.’,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고 교육해요. 장애인 인권이 발전되고 있는 거죠. 하지만 갈 길이 멀어요. 지체 장애인의 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이 담론화됐지만 지적 장애인은 달라요.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게 서투르거든요. ‘미, 투’의 주인공은 비록 지능이 높고 자기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사람이라 상관없지만 장애 정도가 심각하다면 문제는 더 심각해지죠.

결국 누군가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일본의 경우 장애인을 위한 성생활 보조인이 있다고 들었어요. 자위행위를 도와준다든가, 성매매 업소에 데려가 주는 식으로요. 성매매가 불법인 한국 사회에서 이런 식의 해외 사례는 큰 고민을 하게 만듭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장애인들의 성욕을 해소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이미지 확대
‘미, 투’는 장애인의 성을 적극 허용해야 한다는 기본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반대할 수 없죠. 하지만 문제는 일반인들에 대한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는 거예요. 단순히 장애인의 틀 안에서 “이들에게 성적 권리를 허용하라.”고 주장할 수만은 없어요.

가령, 일반 학교의 경우 장애인 특수반은 일반 학생들과 접촉이 불가피합니다. 일반 학생들에 의한 성추행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는 거죠. 짓궂은 일반 아이들이 장애인 아이들을 데리고 성추행을 한다는 식의 뉴스를 많이 접할 수 있잖아요. 이런 상황에서 장애인 아이들에게 “너희들도 성적으로 자유로워야 한다.”고 교육할 수만은 없죠. 결국 다치는 건 우리 장애 청소년이니까요.

이미지 확대
일반 학생들에게도 장애인 성 문제에 대한 교육이 절실합니다. 원치 않는 사건이 발생해도 특수 교사가 일반 아이들을 통제하는 것도 쉽지 않아요. 장애인들의 자유로운 성 이전에 일반 학생들에게도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올바르게 정착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미, 투’의 주인공처럼 우리 장애 아이들은 정말 때묻지 않고 순수해요. 특히 지적 장애인의 경우 누군가 접근을 해도 의심하지도, 방어하지도 않아요. 영화의 주인공처럼요. 만일 누군가와 강제로 성관계를 맺었다 하더라도 이를 정말 사랑이라고 생각하고, 때론 그걸 추억으로 간직하기도 해요. 너무 아쉽죠.

그렇다고 무작정 장애인들에게 “사랑은 나쁜 거야.”라고 교육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봐요. 먼저 사랑의 본질을 이해시켜야 하고, 그 다음에 체계적인 성교육을 시켜 줘야 합니다. 성폭력을 당할 위험부담 때문에 사랑이란 감정을 거세하는 것은 또 다른 폭력일 테니까요.

이미지 확대
물론 성교육에 어려움이 많아요. 학교에서는 한 달에 3시간 이상 성교육을 갖는데 지적 장애인들에게 이를 한 번에 이해시키기란 어렵습니다. 생리주기 확인이나 피임 교육을 무한히 반복해야 합니다. 성체험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는 식으로 체험학습을 하기도 하지만 역시 한계가 있어요. 장애 청소년들이 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절실합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4-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